볼셰비키5 [러시아사]#51_세계 최초의 사회주의 국가 소련의 탄생과 레닌의 죽음 러시아를 공업 국가로 바꾼 레닌 많은 국가에서 문화와 교육을 흡수했던 레닌은 죽은 것이나 다름없던 러시아를 심폐 소생하기 시작했다. 1918년부터 4년 동안 네 가지 정책, 즉 전시공산주의, 식량 징발제, 식량 세제, 신경제 정책을 시행했으며, 전국을 전기화하는 계획과 공업 발전 계획을 제안했다. 스탈린이 10년이라는 짧은 시간 동안 9,000개의 공장을 짓고 각종 내실 있는 경제 성과를 달성하며 수많은 지식인과 군인들을 배출해 낼 수 있었던 것도 레닌이 그 기반을 다져놓은 덕분이었다. 1941년 파시스트와의 전쟁이 일어났을 때 러시아는 이미 튼튼한 산업 기반을 가지고 있었다. 러시아는 당시 세계에서 가장 뛰어나다고 평가된 탱크 T34와 전투기 L2, 그리고 로켓 시스템 카추샤를 보유하고 있었다. 러시아.. 2024. 3. 6. [러시아사]#47_전시 공산주의와 러시아 내전(적백내전) 사회주의를 수호하기 위한 전시 공산주의 처칠은 영국의 육군 장관에 재임할 당시 볼셰비키를 요람에서 죽게 할 것이라고 공언했다. 또한 경제학자인 케인스는 러시아의 터진 곳을 메울 수 있는 것은 오직 무력뿐이라고 주장했다. 제1차 세계대전이 끝나고 승전국인 소비에트 연방은 승자의 대우를 받기는커녕 새로운 전쟁에 휘말려야 했다. 자본주의 국가들이 러시아를 공격해 왔다. 1918년 제1차 세계대전이 끝난 이후 영국, 프랑스, 일본, 미국 등의 국가는 러시아에 무장간섭을 시작했고, 콜차크, 데니킨, 유데니치를 중심으로 하는 백군(반 볼셰비키군)은 신정권을 공격해 왔다. 이에 따라 러시아 전역은 불길과 연기로 뒤덮였으며, 적군이 많을 때는 동시에 24곳에서 전투를 벌이기도 했다. 하지만 다급한 상황에 비해 러시아의.. 2024. 3. 2. [러시아사]#44_러시아혁명 이전, 점점 커져가는 볼셰비키 세력 레닌의 혜안 사실 볼셰비키 내부에서도 레닌을 지지하는 사람은 극소수였다. 스탈린과 카메네프가 창간한 '프라우다'(진리라는 뜻의 공산당 기관지)에서도 임시 정부에 대한 태도는 모호했다. 어쩌면 이처럼 역사가 베일을 벗기 전에 그 모습을 파악하고 미래를 향해 나아갈 수 있는 사람은 극소수에 불과하다는 것이 역사가 가진 가장 매력적인 점일지도 모른다. 대부분의 사람은 역사적으로 중요한 시기가 닥치면 그저 조급한 마음으로 역사의 결정을 기다린다. 또한 한편으로는 남다른 안목을 가진 이를 비웃으면서 자신은 결코 역사의 낙오자가 아님을 증명하려 한다. 하지만 시간이 지남에 따라 역사는 레닌의 생각이 옳았음을 증명했다. 1917년 7월, 임시 정부는 '동맹국에 대한 의무 이행'을 내걸고 러시아군의 출전을 명령했다. .. 2024. 2. 26. [러시아사]#43_임시 정부와 소비에트의 정권 겨루기 임시 정부에 대한 치솟는 불만 상트페테르부르크의 네바강에는 유명한 배 한 척이 전시되어 있다. 역사와 함께한 이 순양함의 이름은 '오로라'였다. 이 배의 대포는 1917년부터 줄곧 겨울궁전을 조준하고 있다. 1917년 11월 7일, 순양함 오로라가 내뱉은 굉음과 함께 러시아의 역사는 새로운 페이지를 쓰게 됐다. 하지만 역사의 새로운 페이지를 쓰는 일은 그리 쉽지만은 않았다. 1917년 2월, 제1차 세계대전이 일어난 지 4년째에 접어들면서 러시아인들은 살아가는 것 자체가 고통이었다. 페트로그라드에서 노동자들과 군인들에 의해 발발한 2월혁명으로 인해 300년이나 러시아를 통치했던 로마노프 왕조가 붕괴한 이후 러시아에는 두 개의 정부가 출현해 혼란을 빚고 있었다. 하나는 자산 계급이 세운 임시 정부였고, 다.. 2024. 2. 25. 이전 1 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