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세이난 전쟁2

[일본 근현대사]#19_메이지 유신과 세이난 전쟁(2) 유신 원로들의 폭동을 제압하고, 처형하여, 규슈 지역은 오쿠보 도시미치 정부에 대한 민심이 박살날대로 박살 났다. 언제 반란이 일어난다 하더라도 전혀 이상할 게 없었다. 오쿠보 도시미치는 가고시마에 특권을 주는 회유책을 사용하기도 했지만, 사족들의 반란을 줄이는 데는 역부족이었다. 하지만 오쿠보 도시미치는 그래도 믿는 구석이 있었는데, 바로 같은 *유신 삼걸이었던 사이고 다카모리였다. 그는 사이고 다카모리의 통치력을 믿고 있었다. 그가 결코 경솔하게 반란을 주도할 사람은 아닐 거라고 생각했다. *유신 삼걸 :기도 다카요시, 사이고 다카모리, 오쿠보 도시미치 그러나 가와지 도시요시는 치안 책임자로서, 가고시마로 사람을 보내 동향을 살피는 것 또한 게을리하지 않았다. 당시 정부의 무기고는 사이고 다카모리가 .. 2023. 12. 29.
[일본 근현대사]#18_메이지 유신과 세이난 전쟁(1) 세이난 전쟁이 일어났을 때 가와지 도시요시는 도쿄 경시청의 수뇌로서 가고시마의 동향을 예의 주시했다. 과거 유신의 영웅이었던 사이고 다카모리가 그의 고향인 가고시마에서 폭동을 일으키려 했기 때문이다. 세이난 전쟁 메이지 6년, 10월 정변이 일어난 후, 사이고 다카모리, 에토 신페이, 이타가키 다이스케는 공직을 사퇴하고 메이지 정부를 떠났다. 메이지 유신 과정에 큰 공을 세운 그들이었지만 정부를 정한론을 둘러싸고 오쿠보 도시미치를 비롯한 내치파와 대립하다가, 정부를 떠난 후에는 불평사족의 중심 역할을 맡았다. 오쿠보 도시미치의 개혁 방향은 사족의 이익을 직접적으로 침해하는 부분이 있었기에 이 갈등은 훗날 세이난 전쟁으로 발발했다. 유신 원로들의 반란 1874년부터 몇몇 메이지 유신 원로들이 폭동을 일으키.. 2023. 12. 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