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경제 정책2 [러시아사]#50_소련의 신경제 정책과 미국인 '아먼드 해머' 신경제 정책의 의의 레닌은 신경제 정책을 통해 러시아의 산업이 국가의 통제를 벗어날 수 있을 거라고는 생각하지 않았다. 당시 소비에트 정부는 사유 재산가들에게 다음과 같이 요구했다. "공장으로 돌아가 10~15년 안에 공장이 다시 일어설 수 있게끔 해주시오." 하지만 자신들의 공장으로 돌아간 사람은 많지 않았다. 그래서 일부 대기업은 정부가 관리를 하기 시작했다. 물론 신경제 정책으로 무역은 활기를 되찾았다. 신경제 정책을 시행하는 동안 개인이 운영하는 기업은 무역업의 50퍼센트를 차지했다. 하지만 공업 분야에서는 개인 기업의 비중이 고작 18퍼센트에 그쳤다. 레닌은 자본이나 은행을 착취의 산물이라고 인식했다. 하지만 러시아 내에서의 차용 기업은 허락했다. 미국인 기업가인 해머가 이에 적극 동참했지만, .. 2024. 3. 3. [러시아사]#49_신경제 정책 이후 미국과 소련의 무역 신경제 정책에 있어 가장 핵심적인 문제는 사회주의와 시장 경제를 직접 연결함으로써 농민의 적극성을 끌어내 그들과 함께 사회주의를 건설하는 것이었다. 이 때문에 농민을 사회주의 경제와 결합할 수 있도록 상업을 발전해야만 했다. 상업 분야에 있어 신경제 정책이 가장 먼저 시행했던 것은 공산품을 농산물과 맞바꾸는 물물 교환이었다. 하지만 화폐를 통해 거래하는 방식에 익숙했던 러시아의 아낙들은 물물 교환을 하지 않으려 했다. 게다가 공산품이 도달하는 시간은 항상 늦었다. 그러자 레닌은 국내의 자유 무역과 은행 시스템을 회복하고 국영 백화점을 설립할 것을 선포했다. 모스크바 붉은 광장 한편에 자리 잡고 있으며 오늘날 러시아 여행에서 빼놓을 수 없는 쇼핑 명소가 된 이 국영 백화점은 1921년 영업을 시작했다. 러.. 2024. 3. 3.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