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오쿠보도시미치2

[일본 근현대사]#20_메이지 유신, 토지세를 개편하다 일본의 산업화는 부족했던 인프라 확충을 바탕으로 빠르게 발전할 수 있었다. 이와쿠라 사절단이 일본으로 돌아온 후, 식산흥업은 정부의 당면 과제가 되었다. 오쿠보 도시미치 정권은 서구 열강들처럼 산업화에 온 힘을 쏟아붓기로 결정하고 과감한 개혁 정책을 단행했다. 1874년, 오쿠보 도시미치는 '식산흥업에 관한 건의서'에서 "국력은 국민의 빈부에 따라 좌우되고, 국민의 빈부는 물자의 많고 적음에 따라 결정된다. 물자의 많고 적음은 국민들이 산업에 주력하는지의 여부에 따라 결정되지만, 그 바탕에는 정부의 유도와 장려가 매우 중요한 요인으로 깔려 있다."라고 주장했다. 토지세 개혁 메이지 초기 봉건 번주들에게 판적봉환을 명령한 직후, 세스현의 일개 현령인 무쓰 무네미쓰가 종전의 토지 측량법을 바꾸어 전국적으로 .. 2023. 12. 30.
[일본 근현대사]#9_보신전쟁, 저물어가는 막부 시대, 그리고 메이지 유신의 시작 왕정복고 정변으로 인해 조정을 차지한 도막파와 막부의 갈등이 걷잡을 수 없이 커졌다. 이제 그들에게 전쟁은 피할 수 없는 대화 수단이 되었다. 이튿날 교토 서부의 니조 성에 머물고 있던 도쿠가와 요시노부는 관직을 취소한다는 어지를 받았다. 보신전쟁(1868~1969) 전날 새벽부터 그의 친번 위병들도 조정에서 모두 철수당했으며, 이러한 사건들을 통해 그는 정변을 일으켜야 할 때가 왔음을 직감하고 정변 준비에 착수한다. 당시 그의 수중에는 1만 군대가 있었다. 이 소식이 전해지자, 민심은 술렁이고 장정들은 갑옷으로 무장하기 시작했다. 후다이 다이묘들이 성 밖을 지키고, 성안의 사기는 하늘을 찔렀다. 도쿠가와 요시노부는 어지를 전하러 온 오와리 번주 도쿠가와 요시카츠와 에치젠 번주 마쓰다이라 요시나에게 어지.. 2023. 12. 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