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2 [일본 근현대사]#43_일본, 조선을 삼키다 러일전쟁 이후 일본, 조선을 삼키다 1905년 11월 16일, 이토 히로부미가 조선을 방문해 '한일 협약(을사늑약)'을 고종에게 전달한다. 그리고 일본에 외교권을 넘겨 달라고 공공연하게 요구했다. 그는 외무대신을 만나 서둘러 일본 공사와 협약을 체결할 것을 강요한 뒤, 18일 새벽 0시 20분 일본 헌병들의 경호를 받으며 거처에 도착했다. 약 30분 뒤, 주한 일본 공사 하야시 곤스케와 조선의 박제순이 한일 협약에 서명했다. 일본은 조선에 통감을 설치하고 주둔해 외교를 총괄하도록 했다. 이로써 조선은 일본의 동의를 받지 않고는 그 어떤 국제 협약도 체결할 수 없는 처지로 전락한다. 1906년, 이토 히로부미가 초대 조선 통감으로 부임한다. 그는 한국을 13도 11부 333군으로 나누고 각급 행정 기관에 .. 2024. 1. 16. [일본 근현대사]#39_청일전쟁 발발. 일본, 조선을 탐내다 구미 각국과의 불평등 조약을 수정하기 위해 제1대 이토 히로부미 내각의 외상 이노우에 가오루가 무쓰 무네미쓰의 계책을 받아들여 도쿄에 로쿠메이칸(메이지 시대 외국인 접대소)을 건립하고 서양 인사들을 초청해 연회를 열어 일본 서구화의 성과를 보여주었다. 1883년 준공된 로쿠메이칸은 화려하기 그지없었는데, 당시 일본의 주요 정치인과 외국 사절들이 연회를 열고 친분을 다지는 장소가 되었다. 그 와중에 이토 히로부미는 주색을 일삼으며 음탕한 본색을 적나라하게 드러냈다. 이 시기를 일본인들은 '로쿠메이칸 시대'라고 부른다. 그러나 조약 수정을 위한 비밀 협상은 순조롭지 않았다. 이노우에 가오루가 협상에 실패하자, 오쿠마 시게노부가 그 뒤를 이어 협상을 진행했다. 그런데 협상이 거의 타결되려는 때에 영국의 '타임.. 2024. 1. 12.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