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포르투갈 동방무역3

[포르투갈] 마카오, 나가사키까지 진출한 포르투갈 포르투갈의 아시아 진출, 마카오를 넘어 나가사키로 15세기까지 중국은 포르투갈에겐 여전히 신비의 나라였다. 그전까지는 주로 실크로드를 통해 무역이 이루어졌기 때문이다. 그러나 포르투갈 국왕은 실크로드를 대신할 해상 항로를 개척해 중국의 상품을 리스본으로 운송할 계획까지 염두에 두고 있었다. 말라카는 바로 중국 무역을 위한 주요 거점이었다. 이러한 이유로 포르투갈 정부가 세케이라를 파견해 말라카를 공격하러 갔을 때 말라카의 술탄은 급히 명나라 황제에게 구원을 요청했으나, 명나라 무종은 술탄의 요청을 묵살하고 오히려 그를 질책하는 칙서를 보냈을 뿐이다. 16세기 중엽 포르투갈은 고리를 말린다는 핑계로 중국 마카오에 정식으로 장기 체류하기 시작했다. 또 일본 나가사키에 무역 상관을 세움으로써 포르투갈은 나가사.. 2024. 5. 12.
[포르투갈] 인도 고아, 말라카해협: 동방 무역의 거점을 만들다 알부케르크는 1509년에서 1515년까지 포르투갈의 인도 식민 정부 2대 총독을 지낸 인물로, 당시 과감하고 새로운 식민지 개척 전략을 펼쳤다. 그는 먼저 홍해의 소코트라섬을 공격하고 다시 페르시아만의 호르무즈를 점령했다. 인도에 도착한 알부케르크는 캘리컷을 공격하려 했으나 실패하고, 먼저 고아를 점령해 포르투갈의 해군기지와 베이스캠프를 세웠다.포르투갈, 무역의 요충지 말라카를 점령하라 그러나 알부케르크의 목적은 인도 동쪽에 있는 전략 요지 말라카였다. 당시 포르투갈 왕실은 향료제도로 가기 위해서는 반드시 말라카 해협을 지나야 한다는 사실을 알고 있었다. 포르투갈은 처음부터 함대를 파견하지 않고 세케이라에게 말라카를 정탐하라는 명령을 내렸다. 세케이라는 인도 코친 항에서 정찰선 4척을 이끌고 비밀리에 떠.. 2024. 5. 11.
[포르투갈] 인도양, 포르투갈 손에 들어가다 인도양을 지배한 포르투갈 함대 다 가마가 인도까지 몰고 간 함선에는 이동할 수 있는 최신식 대포 20여 대가 실려 있었다. 함대 포진 실력 또한 뛰어나 인도양에서 맞닥뜨린 아라비아 해군을 손쉽게 격퇴할 수 있었다. 그러나 포르투갈은 손바닥만 한 영토를 가진 작은 나라가 광활한 동방 세계를 지배할 수 없다는 사실을 잘 알고 있었다. 그래서 그들의 최종 목표는 향료 무역을 독점하는 것이었고, 그러기 위해서는 반드시 해상권을 장악해야 했다. 이것은 훗날 수 세기 동안 식민지 개척의 주요한 수단이 되었다. 먼저 해외에 상업 거점을 세우고 뒤이어 상업 거점을 보호할 요새를 만들었다. 처음에는 현지 토착민과 물물 거래를 하다가 본토 지원군이 오면 영토를 점령하는 방식이었다. 1505년 3월 25일, 포르투갈의 무장.. 2024. 5.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