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포르투갈 세우타 점령2

[포르투갈] 대항해시대_세우타 점령과 해외 영토 확장 주앙 2세의 향료 무역 포르투갈은 향료 무역을 하기 위해 항해 대발견에 나선 것은 아니었다. 항해 대발견은 크게 두 단계로 나누어 볼 수 있는데, 우선 엔리케 왕자 시기의 무대는 주로 대서양이었다. 엔리케 왕자의 발자취는 베르데 제도에서 아조레스 제도, 마데이라 제도를 거쳐 기니만까지 닿았다. 엔리케 왕자의 발견은 향료와 전혀 무관했다. 그는 그저 베일에 싸여 있던 미지의 세계를 동경했을 뿐이다. 그러나 주앙 2세에 이르러 드디어 인도양 장악 계획이 세워졌다. 물론, 목적은 향료를 얻는 것이었다. 이것이 바로 항해 대발견의 두 번째 단계였다. 이 시기에 주앙 2세는 바다를 향해 끊임없이 탐험대를 파견했다. 그리고 그 탐험대 중 일부는 희망봉을 지나 인도양을 거쳤고, 1498년, 드디어 다 가마가 인도에 .. 2024. 5. 8.
[포르투갈] 대항해시대_왕자이자 그리스 기사단장이었던 엔리케 포르투갈이 최초의 해양 탐험 국가인 건 아니었다. 하지만 제일 처음 항해를 국가 차원에서 계획하고 더 나아가 발전시켰다. 따라서 포르투갈의 항해 대발견은 개인이 아닌 국가 차원에서 이해할 필요가 있다. 포르투갈의 항해사들의 200여 년 항해 노하우는 철저한 계획과 체계 아래 조직적으로 재정비되어 탁월한 성과를 이룩했다.포르투갈의 아프리카(세우타) 점령 역사학자들은 통상적으로 1415년 세우타 점령을 포르투갈 해외 영토 확장의 시발점으로 삼는다. 북서 아프리카의 도시 세우타는 1415년 포르투갈 국왕 주앙 1세가 이끄는 군대에 함락당했다. 포르투갈이 세우타를 점령한 데에는 여러 이유가 있겠지만 가장 중요한 것은 국왕의 권위를 세우기 위함이었다. 이슬람으로부터 세우타를 빼앗아 주앙 1세의 위엄을 드높이고 더.. 2024. 5.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