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1차 세계대전3

[러시아사]#42_레닌, 러시아 역사에 등장하다 레닌의 탄생 레닌이라는 이름은 시베리아의 큰 강인 레나강에서 따온 것이었다. 17세에 혁명에 가담했던 이 청년은 27세에 시베리아로 유배를 떠나면서 자신의 이름을 레닌으로 바꾸었다. 19세기의 데카브리스트 이래로 레나강은 차르 통치에 반대하고 러시아 민족의 흥성을 위한 길을 모색하다가 이곳으로 추방당한 혁명가들을 넓은 가슴으로 품어왔다. 시베리아의 혹한 속에서도 혁명가들은 러시아의 노선에 대한 자신들의 의지를 꺾지 않았다. 그들은 도도하게 흐르는 이 강가에 서서 민족의 운명을 생각하며 수없이 많은 날을 보냈다. 이 때문에 레나강은 러시아 혁명가들의 마음속에 독특한 의미로 자리 잡았다. 레나강은 조국의 번영에 대한 민족의 염원과 갈망을 상징했다. 이러한 이유로 레닌은 레나강에서 이름을 따 자신의 이름으로 .. 2024. 2. 14.
[러시아사]#41_1차 세계대전과 2월 혁명, 러시아를 뒤흔들다 1913년 러시아의 석탄 생산량과 면화 가공량은 1900년에 비해 각각 121퍼센트와 62퍼센트의 성장률을 보였다. 수출 총액과 국민 소득 역시 각각 112퍼센트와 78.8퍼센트로 비약적 발전을 이루었다. 1인당 식량 생산 역시 최대치를 기록했다. 1914년에 이르자 러시아는 세계 6대 무역 대국, 그리고 세계 4대 공업 대국으로 급부상했다. 1909년에 스톨리핀은 한껏 자랑스럽게 말했다. "앞으로 20년 동안 국내외적으로 평화 상태가 지속된다면 그때 러시아의 모습은 알아볼 수 없을 만큼 변모해 있을 것이다." 하지만 역사는 러시아에 그와 같은 기회를 주지 않았다. 이미 수명이 다된 다른 왕조와 마찬가지로 러시아 역시 스톨리핀의 출현만으로는 잿빛 운명을 피할 수는 없었다. 1차 세계대전의 소용돌이 191.. 2024. 2. 13.
[일본 근현대사]#45_대공황과 군국주의 길을 걷는 일본 1921년, 미국 정부가 일본, 영국, 프랑스, 이탈리아, 중국 등 9개국을 초청해 워싱턴에서 회의를 열고, 일본에 강한 공세를 펼쳤다. 미국은 일본에 해군의 군비 확장을 제한할 것을 요구했다. 결국 미국과 영국, 일본이 각각 5:5:3의 비율을 유지하기로 합의해, 일본 주력 군함의 규모는 영국과 미국보다 21만 톤 적은 31만 톤을 넘을 수 없게 되었다. 중국 문제에 있어서 미국은 문호 개방과 기회균등의 원칙을 내세웠다. 그러나 중국이 요구한 영사 재판권 취소와 관세 자유 실현, 조계지 반환 등의 요구와 산둥 문제 해결, 1915년에 체결된 21개조 요구 폐지 등의 조건은 일본이 배상금을 받고 산둥에서 철군하기로 합의하는 데 그쳤다. 워싱턴 회의를 계기로 동북아에 새로운 정치 국면이 형성되었다. 영일 .. 2024. 1. 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