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1920년대 소련2

[러시아사]#51_세계 최초의 사회주의 국가 소련의 탄생과 레닌의 죽음 러시아를 공업 국가로 바꾼 레닌 많은 국가에서 문화와 교육을 흡수했던 레닌은 죽은 것이나 다름없던 러시아를 심폐 소생하기 시작했다. 1918년부터 4년 동안 네 가지 정책, 즉 전시공산주의, 식량 징발제, 식량 세제, 신경제 정책을 시행했으며, 전국을 전기화하는 계획과 공업 발전 계획을 제안했다. 스탈린이 10년이라는 짧은 시간 동안 9,000개의 공장을 짓고 각종 내실 있는 경제 성과를 달성하며 수많은 지식인과 군인들을 배출해 낼 수 있었던 것도 레닌이 그 기반을 다져놓은 덕분이었다. 1941년 파시스트와의 전쟁이 일어났을 때 러시아는 이미 튼튼한 산업 기반을 가지고 있었다. 러시아는 당시 세계에서 가장 뛰어나다고 평가된 탱크 T34와 전투기 L2, 그리고 로켓 시스템 카추샤를 보유하고 있었다. 러시아.. 2024. 3. 6.
[러시아사]#50_소련의 신경제 정책과 미국인 '아먼드 해머' 신경제 정책의 의의 레닌은 신경제 정책을 통해 러시아의 산업이 국가의 통제를 벗어날 수 있을 거라고는 생각하지 않았다. 당시 소비에트 정부는 사유 재산가들에게 다음과 같이 요구했다. "공장으로 돌아가 10~15년 안에 공장이 다시 일어설 수 있게끔 해주시오." 하지만 자신들의 공장으로 돌아간 사람은 많지 않았다. 그래서 일부 대기업은 정부가 관리를 하기 시작했다. 물론 신경제 정책으로 무역은 활기를 되찾았다. 신경제 정책을 시행하는 동안 개인이 운영하는 기업은 무역업의 50퍼센트를 차지했다. 하지만 공업 분야에서는 개인 기업의 비중이 고작 18퍼센트에 그쳤다. 레닌은 자본이나 은행을 착취의 산물이라고 인식했다. 하지만 러시아 내에서의 차용 기업은 허락했다. 미국인 기업가인 해머가 이에 적극 동참했지만, .. 2024. 3.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