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세기 역사4 [러시아사]#42_레닌, 러시아 역사에 등장하다 레닌의 탄생 레닌이라는 이름은 시베리아의 큰 강인 레나강에서 따온 것이었다. 17세에 혁명에 가담했던 이 청년은 27세에 시베리아로 유배를 떠나면서 자신의 이름을 레닌으로 바꾸었다. 19세기의 데카브리스트 이래로 레나강은 차르 통치에 반대하고 러시아 민족의 흥성을 위한 길을 모색하다가 이곳으로 추방당한 혁명가들을 넓은 가슴으로 품어왔다. 시베리아의 혹한 속에서도 혁명가들은 러시아의 노선에 대한 자신들의 의지를 꺾지 않았다. 그들은 도도하게 흐르는 이 강가에 서서 민족의 운명을 생각하며 수없이 많은 날을 보냈다. 이 때문에 레나강은 러시아 혁명가들의 마음속에 독특한 의미로 자리 잡았다. 레나강은 조국의 번영에 대한 민족의 염원과 갈망을 상징했다. 이러한 이유로 레닌은 레나강에서 이름을 따 자신의 이름으로 .. 2024. 2. 14. [일본 근현대사]#52_패전 후, 일본은 어떻게 경제를 회복하였는가? 일본의 전후 개혁은 자산 계급의 정치와 경제 체제를 새롭게 수립했고, 현대적인 변혁의 시발점이 되었다. 일본 경제는 이러한 배경 속에서 신속하게 발전해 세계 경제 대국으로 부상하는 데 성공했다. 빠르게 회복한 일본 경제 1946년 12월 10일, 도쿄 대학 교수이자 요시다 시게루 내각의 석탄 위원회 위원장인 아리사와 히로미는 '일본 경제의 패국을 살리는 길'이라는 글에서 "기초 원료인 석탄 생산에 모든 경제 정책을 집중해야 한다. 이를 지렛대로 삼아 생활 수준을 향상할 수 있는 계기를 만들어 낼 수 있다."라고 했다. 당시 일본이 전후에 직면한 위기는 경제 붕괴였다. 실업자가 전체 노동 인구의 20퍼센트인 600만 명에 달했다. 식량 부족으로 굶어 죽는 사람이 부지기수였다. 심지어는 당시 일본 대기업 경.. 2024. 1. 25. [일본 근현대사]#50_제2차 세계대전 후 일본 전후처리 1945년 8월 30일, 연합군 총사령관 더글러스 맥아더가 일본에 도착했다. 그는 향후 5년간 일본에서 '태상황'의 지위를 누린다. 미국의 일본 점령 9월 2일, 도쿄만에 정박 중이던 미국 전함 미주리호에서 항복 조인식이 성대하게 열렸다. 미국, 영국, 중국, 소련, 네덜란드 등 각국 대표가 지켜보는 가운데, 일본 시게미쓰 마모루 외상과 우메즈 요시지로 참모총장이 정식으로 항복 문서에 서명했다. 맥아더는 황궁을 내려다볼 수 있는 도쿄의 중심 다이이치 생명 빌딩에 사령부를 설치했다. 9월 27일, 일본 히로히토 천황이 맥아더를 방문했다. 천황이 미국 대사관에 도착했을 때, 미국 사진기자가 히로히토와 맥아더가 나란히 서 있는 장면을 사진 찍었다. 이 사진이 일본 신문에 실린 후 일본이 발칵 뒤집혔다. 일본 .. 2024. 1. 23. [일본 근현대사]#44_제1차 세계대전 후, 중국의 산둥반도를 차지하다 1914년 10월 말, 일본 군대가 갑자기 중국 칭다오에 주둔해 있던 독일군에게 총공세를 가했다. 이 전투에 영국군 1,000명도 참가했다. 11월 7일, 칭다오의 독일군이 투항함으로써 일본군이 칭다오를 관리하고, 독일의 전쟁 포로들은 도쿄 전쟁 포로수용소로 이송되었다. 제1차 세계대전 속 일본 1914년, 제1차 세계대전이 유럽에서 시작되었다. 유럽 협약국과 동맹국이 참전했는데, 안팎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던 일본 정치계는 이 전쟁에서 한 줄기 빛을 봤다. 원로 이노우에 가오루는 "이 전쟁은 다이쇼 시대의 천우이다."라고 외쳤다. 일본 정부는 곧 참전 준비에 착수했다. 전쟁이 일본 경제에 큰 이익을 안겨줄 뿐만 아니라, 아시아에 대한 열강의 간섭이 줄어든 틈을 타 동북아에서 본인들의 지위를 강화할 절호의.. 2024. 1. 16.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