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러시아 신경제 정책2

[러시아사]#50_소련의 신경제 정책과 미국인 '아먼드 해머' 신경제 정책의 의의 레닌은 신경제 정책을 통해 러시아의 산업이 국가의 통제를 벗어날 수 있을 거라고는 생각하지 않았다. 당시 소비에트 정부는 사유 재산가들에게 다음과 같이 요구했다. "공장으로 돌아가 10~15년 안에 공장이 다시 일어설 수 있게끔 해주시오." 하지만 자신들의 공장으로 돌아간 사람은 많지 않았다. 그래서 일부 대기업은 정부가 관리를 하기 시작했다. 물론 신경제 정책으로 무역은 활기를 되찾았다. 신경제 정책을 시행하는 동안 개인이 운영하는 기업은 무역업의 50퍼센트를 차지했다. 하지만 공업 분야에서는 개인 기업의 비중이 고작 18퍼센트에 그쳤다. 레닌은 자본이나 은행을 착취의 산물이라고 인식했다. 하지만 러시아 내에서의 차용 기업은 허락했다. 미국인 기업가인 해머가 이에 적극 동참했지만, .. 2024. 3. 3.
[러시아사]#48_크론시타트 반란과 신경제 정책 1920년, 볼셰비키 정권이 백군을 물리침으로써 러시아의 내전은 종결됐다. 전쟁이 끝나자 러시아인들은 평화로운 일상으로 돌아가 새로운 생활을 시작하고 싶었다. 하지만 평화롭던 일상에 전쟁이 일어나는 것이 견디기 힘든 시련인 것처럼 전쟁에서 다시 평화로운 상태로 돌아가는 일 또한 쉽지 않았다. 전쟁이 모든 것을 바꿔놓았기 때문이다. 전쟁은 사람들의 생각과 사상에 지울 수 없는 흔적을 남겼다. 전쟁이 일어나던 순간부터 모든 것은 전쟁 위주로 돌아갔고 승리 후에는 다음 전쟁을 준비해야 했다. 이렇게 굳어진 사람들의 사고방식은 이후 소비에트 연방의 발전 과정에서도 그대로 나타났다. 크론시타트 반란 크론시타트 반란 내전이 끝난 뒤 1921년 3월 크론시타트 해군 기지에서 해병들이 일으킨 반정부 반란 사건이다. 발.. 2024. 3.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