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스페인 무적함대5

[영국]#21_영국-스페인 전쟁의 이모저모(발달과정, 정치 및 경제적 효과, 종교적 의의) 영국-스페인 전쟁의 발단과 전개 전쟁이 발발한 것은 바로 신교 국가인 영국이 스페인의 제국 패권주의를 반대했기 때문이다. 영국인은 네덜란드가 스페인에 대항해 싸우는 데 지원군을 보내 힘을 보탰다. 이에 분노한 스페인 국왕 펠리페 2세는 영국을 침공하기로 결정했다. 그는 영국해협을 횡단할 연합군을 대륙에 대기시킨 상태에서 역사상 가장 큰 규모의 함대를 파견했다. 1588년 여름, 무적함대는 위용을 자랑하며 영국을 향해 출발했다. 펠리페 2세는 당연히 스페인이 승리할 것을 믿어 의심치 않았다. 하지만 이번에는 그 예상이 빗나가버렸다. 영국 해군은 비록 규모는 작았지만 아주 날렵하고 기동력이 뛰어났다. 당시 최고의 해군력을 자랑하던 스페인의 무적함대는 순식간에 와해하여 북해로 쫓겨갔기 때문에 기다리고 있던 육.. 2024. 7. 6.
[스페인] 스페인 무적함대의 침몰 스페인의 무적함대 1588년 초, 리스본에서 영국 침공을 준비 중이던 스페인 함대 지휘관 산타크루스 후작이 고령으로 세상을 떠났다. 스페인 무적함대는 이미 리스본에 집결해 있는 상태였다. 유럽 역사상 최대 규모를 자랑하는 130여 척의 스페인 함대가 모여 있는 리스본 항구의 당시 전경은 수많은 돛대가 마치 밀림처럼 보였고, 병사들과 선원들이 이리저리 바쁘게 움직이고 있었으며 항구에는 군수 물자가 산더미처럼 쌓여 있었다. 펠리페 2세는 시도니아를 함대 총지휘관으로 임명했다. 그러나 시도니아는 해전 경험이 거의 전무했기 때문에 그가 총지휘관으로 임명되자 많은 사람이 반대 목소리를 높였다. 그러나 시도니아 역시 장군이었고, 병사들은 그를 믿고 따를 수밖에 없었다. 엘리자베스 여왕은 스페인 함대의 계획을 이미 .. 2024. 6. 7.
[스페인] 바다를 지배하는 자가 세상을 지배한다, 영국과 제해권을 둔 대립 영국 왕실이 지원한 해적, 드레이크의 등장 스페인이 네덜란드와 전쟁을 치르는 동안 영국은 스페인의 봉쇄 조치로 네덜란드와의 무역에 타격을 입었다. 1572년 안트베르펜 이남의 하류길이 막히자 영국의 양모와 방직품 수출이 어려워졌다. 지브롤터 해협에서도 스페인 함대에 가로막히자 영국 상인들과 항해사들은 새로운 시장을 찾아야 했다. 바로 이때, 호킨스, 드레이크와 같은 영국 해군 역사상 유명한 명장이 등장했다. 호킨스는 1568년 3차 아메리카 탐험 도중 배가 파손되자 잠시 멕시코에 정박했다. 그러나 호킨스는 이곳에서 스페인 총독에게 습격받아 재물을 약탈당하고 많은 영국 선원이 죽임을 당했다. 호킨스는 이때부터 스페인에 원한을 품게 되었다. 몇 년 후 호킨스는 드레이크를 파견해 스페인의 카리브해 식민지를 습.. 2024. 6. 6.
[스페인] 레판토 해전, 가톨릭vs이슬람 지중해 패권다툼 스페인 vs 오스만 제국, 지중해 패권을 장악하라 펠리페 2세의 앞길에 불운만 있었던 것은 아니었다. 카를 5세가 유럽 전역을 돌아다니며 전쟁을 치른 탓에 거의 모든 유럽 국가가 재정 파탄 지경에 이르렀다. 이 때문에 유럽은 잠시 휴전 상태에 들어가고 스페인도 숨 돌릴 여유가 생겼다. 또한 스페인의 지중해 맞수 오스만 튀르크 제국은 술레이만의 아들들이 왕위 다툼을 벌이고 있었다. 이에 따라 스페인은 마음 편히 휴식을 취할 수 있었다. 1560년대 초 오스만 튀르크 해군은 대규모 해전을 치르지 않았다. 1564년 펠리페 2세는 도리아를 해군 제독으로 임명했다. 그리고 서유럽의 모든 가톨릭 국가가 오스만 튀르크와 싸울 스페인 해군을 지원했다. 1560년대 중반 스페인 해군은 무적함대라는 명성에 손색이 없었으.. 2024. 5. 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