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알렉산드르 1세3

[러시아사]#33_데카브리스트의 난, 러시아의 귀족 혁명 시기 전제 군주제와 농노제에 대한 반발이 거세지다 프랑스혁명의 결과를 직접 목격한 러시아 귀족들은 더 이상 러시아의 현실을 두 눈 뜨고 바라볼 수 없었다. 프랑스의 평민들이 부활한 부르봉 왕조의 귀족들에게 평등과 자유를 요구할 때 러시아의 농노들은 여전히 귀족 지주의 채찍 앞에서 벌벌 떨어야만 했다. 영국에서는 산업혁명의 불길이 30년 동안이나 지속되고 있었지만, 러시아는 근대적인 공장조차 몇 개 갖추지 못한 채 여전히 수공업으로 생산하고 있었다. 유럽 세계에서 의회제가 보편적으로 인정될 무렵 미국은 이미 대서양 건너편에서 공화국을 수립했다. 하지만 러시아는 여전히 군주 독재를 유지하고 있었다. 계몽 군주는 이미 당위성을 잃었고 두 대제의 개방 정책으로 인해 러시아 국민들 사이에는 진보에 대한 바람이 거세게 .. 2024. 2. 5.
[러시아사]#32_쿠투조프의 일생과 러시아에 찾아온 자유주의 쿠투조프 장군의 일생 쿠투조프는 예카테리나 2세, 파벨 1세, 알렉산드르 1세, 모두 세 명의 황제를 섬겼다. 험난하면서도 찬란했던 그의 일생은 모두 이 세 명의 군주와 관련이 있다. 게다가 그의 인생은 군주에 따라 극과 극을 달렸다. 그가 처음으로 전쟁에서 다쳤을 때 그가 소속됐던 부대의 총사령관은 예카테리나 2세에게 당시 상황을 다음과 같이 보고했다. "모스크바 군대의 부상자 중 쿠투조프라 불리는 중위가 있습니다. 그는 새롭게 조직된 부대를 통솔하는 능력이 매우 뛰어나 노련한 군인들을 능가할 정도입니다." 그러자 여제는 쿠투조프에게 1만 루블의 상금을 하사했으며 직접 의사를 찾아가 이렇게 부탁했다. "반드시 쿠투조프의 부상을 낫게 해야 해요. 그는 큰 장군이 될 인물이에요." 쿠투조프는 용맹했을 뿐 .. 2024. 2. 5.
[러시아사]#29_러시아 영웅 쿠투조프와 나폴레옹의 러시아 원정 러시아의 영웅, 쿠투조프 1813년 4월 28일 아침 9시 35분, 분츨라우(지금의 폴란드)라는 작은 도시의 이층 집으로 별똥별 하나가 떨어졌다. 8년이 지난 1821년 4월 11일, 이 도시에는 쇠로 만든 높이 12미터의 기념비가 올라섰는데 거기에는 다음과 같은 글귀가 새겨져 있었다. "쿠투조프 스몰렌스크 공작, 무적의 러시아 군대를 이끌고 이곳에 오다. 죽음의 신은 그의 영광스러운 대업을 중단시키고 말았지만 그는 조국을 구했으며 유럽에 자유의 길을 열어 주었도다. 그의 이름은 영원하리니!" 쿠투조프(1745-1813)는 군인 집안에서 태어났다. 12살이 되던 해에 구사 학교에 들어갔으며, 타고난 총기로 금세 학생들 사이에서는 두각을 나타냈다. 이러한 배경은 훗날 그가 세계에서 가장 박학다식한 군인 중.. 2024. 1. 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