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영국 경제사2

[영국]#58_19세기 산업화된 대영제국의 경제 호황 19세기 영국 무역 정책과 영국의 호황 영국은 산업 부문에서의 경쟁우위를 적극 이용해 자유무역 정책을 시행했다. 무역장벽을 제거하여 해외시장을 확대했다. 영국은 스스로 타국 제품의 수입 장벽을 철폐하고, 다른 나라에도 영국 제품에 대해 동일한 조처를 해 달라고 요구했다. 이를 통해 자유무역은 영국의 핵심적인 국가정책이 되었으며, 영국 제품은 전 세계 시장에서 불티나게 팔려나갔다. 또한 1894년, 약 2세기 동안 시행되었던 '항해조례'도 폐지되었다.  크롬웰 시대의 '항해조례'는 영국-네덜란드 전쟁이 발발하기 이전에 제정된 법률이었다. 여기에는 영국 및 기타 국가의 화물을 수입할 때는 반드시 영국 또는 수출국의 선박을 이용해야 한다는 규정이 있다. 해양 강국이었던 영국은 '항해조례'를 폐지한 후 해운시장.. 2024. 8. 28.
[영국]#56_경제학의 아버지, 애덤 스미스의 생애 경제학의 아버지, 애덤 스미스 18세기는 영국의 산업혁명이 최고조에 달했던 시기였다. 제임스 와트와 맽 볼턴이 버밍엄에서 증기 엔진의 완성에 다가가고 있을 무렵, 런던에서는 50세 된 한 학자가 책을 출간하기 전에 마지막 원고를 손보고 있었다. 이 원고는 아주 특별한 엔진, 즉 사상의 엔진이 나타나 인류의 부를 증대시키는 데 끊임없는 '동력'을 제공해 줄 것이라는 내용을 담고 있었다.  이 원고는 '국가의 부의 성질과 원인에 관한 고찰(이하 '국부론')'이라는 이름으로 출간되었다. 이 책의 저자가 바로 애덤 스미스(1723~1790)이다. 그는 이 책에서 당시 영국을 휩쓸던 중상주의 경제관에 대해 의문을 제기했다.  1621년, 영국의 경제학자 토머스 먼은 '영국에서 동인도로의 무역론'을 발표하여 중상주.. 2024. 8. 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