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국 정치사11 [영국]#41_영국의 입헌군주제와 존 로크 사상 강력한 군주와 전제 군주 유럽과 영국 사회가 중세에서 현대로 넘어갈 때, 강력한 군주제도는 필수적으로 거쳐야 할 과정이었다. 강력한 군주는 이들 국가에 큰 이득을 가져다주었으며, 국왕은 국가가 나아가야 할 방향을 명확히 제시해 주는 '애국주의'의 표상이었다. 16, 17세기에 군주들은 각 민족국가의 부흥을 이끌었다. 하지만 강력한 왕권이 전제정치를 의미하는 건 아니었다. 전제적인 군주는 신민의 의견을 전혀 받아들이지 않고, 반대에 부딪혔을 때도 결코 이를 수용하거나 타협하지 않았다.입헌군주제의 형성 1688년 이후, 영국에서는 입헌군주제가 정착하게 된다. 군주는 군림하되 통치하지 않게 된 것이다. 국왕은 정책을 결정할 때 의회의 동의를 거쳐야 했으며, 외국과 조약을 체결할 때도 의회의 비준을 얻어야 했다.. 2024. 8. 8. [영국]#38_구교냐 신교냐, 제임스 2세냐 윌리엄 3세냐 네덜란드 총독, 윌리엄의 영국행 영국의 의회가 네덜란드의 총독 부부를 국왕으로 초청한 것은 어찌 보면 모험이었다. 위기에 직면했을 때, 영국의 군대가 다시 국왕에게 충성을 바칠지도 모를 일이었기 때문이다. 프랑스 국왕 루이 14세가 빌럼(윌리엄)의 군대를 가로막을 가능성도 있었다. 당시에는 네덜란드와 프랑스가 서로 등을 돌리던 상황이었다. 이 계획이 실패한다면 모두 목숨을 부지하기 어려울 것은 불 보듯 뻔했다. 어찌 되었든 새로운 국왕을 불러오기 위한 준비는 모두 마친 상태였다. 이제 민심을 얻기 위해 여론을 모아야 했다. 1688년 10월 초순에 영국 각 도시의 번화가, 심지어는 궁벽한 농촌 지역에까지 대량의 선전물과 전단, 벽보가 나돌았다. 국왕의 전제정치를 비판하며 신앙의 자유를 요구하는 내용이었다.. 2024. 8. 5. [영국]#37_ 영국의 '명예혁명' 명예혁명이 이루어지기까지 16세기 이후 영국에서 가톨릭은 전제왕권과의 상관관계로 인해 증오의 대상이 되어 갔다. 이런 상황에서 가톨릭교도인 제임스 2세가 영국을 통치한다는 것은 거의 재앙에 가까운 일이었다. 많은 이들이 그의 통치 방식에 불만을 품었지만, 군주제를 존중할 수밖에 없는 딜레마에 빠졌다. 국민들은 국왕을 보위해야 하는데, 그 국왕은 가톨릭을 믿고, 국민들은 그 가톨릭을 증오하는 아주 난감한 상황이었다. 제임스 2세는 즉위 후 3년 동안 가톨릭 편향 정책을 서서히 강화했다. 그러다가 1688년, 그가 로마 교황의 뜻을 받들어 가톨릭 신앙의 자유를 선포하자 영국 국민들은 마침내 국왕에 대한 분노를 표출하게 된다. 바로 제임스 2세의 사위였던 네덜란드 총독 빌럼 공에게 초청장을 보내 국왕의 자리를.. 2024. 8. 4. [영국]#34_크롬웰의 생애와 크롬웰 관점으로 본 영국내전 크롬웰의 생애 1599년, 크롬웰은 잉글랜드 헌팅던의 평범한 소지주 집안에서 태어났다. 그는 케임브리지 대학교에서 2년간 수학하며 청교도의 영향을 크게 받았다. 그는 아버지가 사망하자 대학을 떠나 고향으로 돌아간 뒤 20여 년 동안 농사를 짓고 조세와 법률을 공부하며 지냈다. 이때까지 크롬웰은 전혀 영웅적인 인물이 아니었다. 그저 열 명이 넘는 식구를 먹여 살리는 것이 가장 큰 목표였던 평범한 가장이었다. 1628년과 1640년에 각각 하원의원으로 당선되었지만 그다지 큰 주목을 받지는 못했다. 영국 내전이 그의 운명을 바꿔 놓지 않았더라면, 크롬웰은 아마도 가난한 시골 지주에 지나지 않았을 것이다. 40세가 넘도록 단 한 번도 군인이었던 적이 없었기에 그때까지는 누구도 그에게서 군사 영웅의 기질을 발견.. 2024. 7. 26. 이전 1 2 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