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영국 프랑스5

[프랑스]#6 백년전쟁, 프랑스의 영웅 잔 다르크의 최후 오를레앙의 소녀 잔 다르크, 프랑스를 해방하다 1429년 4월 27일, 궁지에 몰린 샤를 7세는 잔 다르크를 총사령관으로 임명하고 말과 갑옷, 투구를 하사했다. 잔 다르크는 '예수 마리아'라고 쓰인 깃발을 들고, 3,000~4,000명의 병사들을 이끌고 오를레앙으로 진군했다. 잔 다르크는 삼엄한 포위를 뚫고 군량과 무기 등의 물자를 싣고 오를레앙으로 갔다. 그들이 도착하자 그곳에 있던 군인들의 사기가 되살아났다. 잔 다르크는 영국군에 편지를 보내 영국으로 철수할 것을 권하며, 그렇지 않으면 끝까지 프랑스와 피 흘리는 전투를 치르게 될 것이라고 경고했다. 하지만 영국군은 처음부터 고국으로 돌아갈 마음은 없었다. 따라서 잔 다르크는 직접 부대 선두에 서서 돌격을 감행했고, 부상에도 불구하고 공격을 멈추지 않.. 2025. 4. 7.
[프랑스]#5 백년전쟁, 프랑스의 구세주 잔 다르크의 등장 아쟁쿠르 전투, 프랑스의 패배 1415년,  오를레앙과 부르고뉴파의 세력 다툼으로 프랑스가 분열된 틈을 타서 영국 국왕인 헨리 5세는 6,000명의 군사를 이끌고 프랑스를 공격했다. 이들의 군사는 1,000명의 보병과 기병 5,000명의 장궁병으로 조직되었다. 이때 프랑스는 군대는 3만 명을 넘는 규모긴 하였지만, 이 전투에서 다시 영국 장궁병들은 뛰어난 활약을 펼쳤다. 통계에 따르면, 프랑스 병사가 돌진할 때마다 영국 장궁병 한 명이 쏘는 화살은 다섯 발이었다. 그렇다면 한 사람이 다섯 번만 쏘아도 5,000명의 장궁병이 쏜 화살은 2만 5,000발이 된다. 아쟁쿠르 전투(1415)에서 프랑스 병사들이 몇 번을 돌진했는지에 대해서는 관련 자료가 없기 때문에 화살의 숫자를 정확히 알 수는 없지만, 후세 .. 2025. 4. 6.
[프랑스]#3 백년전쟁 : 중세 기사의 몰락, 에드워드 3세의 승리 그리고 흑사병 중세 기사의 몰락 중세 시대 유럽을 종횡하던 기사는 왜 몰락하게 됐을까? 에드워드 3세의 천재적인 전쟁 능력 때문이었을까? 이에 대해 엥겔스가 한 말을 주목해 볼 필요가 있다. 그는 "장궁은 대단히 위협적인 무기였다. 이는 영국군이 크레시, 푸아투, 아쟁쿠르 등의 전투에서 프랑스군을 상대로 승리할 수 있었던 원동력이었다." 엥겔스가 언급한 장궁은 사정거리가 거의 360미터에 달했고, 화살이 시위를 떠날 때의 속도는 초당 60미터 이상이었다. 250미터 밖에 있는 가죽이나 천만 아니라 80미터 이내에서 정면으로 공격할 경우에는 갑옷도 뚫을 수 있을 정도였다. 그리고 50미터 내에서는 뚫지 못할 것이 없었다. 에드워드 1세의 종군 목사는 다음과 같이 말했다. "1182년, 애버게이브니 성을 공격할 때 웨일스.. 2024. 12. 9.
[프랑스]#1 왕위계승권을 둘러싸고 시작된 전쟁 프랑스 왕위계승 - 백년전쟁의 서막 14세기 프랑스는 수도 파리를 포함하여 세계에서 가장 아름다운 매력으로 충만했다. 그러나 한편으로는 의외의 허약함도 지니고 있었다.  그 당시 전 유럽의 관심은 프랑스의 한 궁전에 쏠려 있었다. 그곳에는 화려하게 차려입은 귀족들이 호화로운 연회를 벌이고 있었다. 이들은 은밀한 밀회를 즐기며 귀부인들과 노닥거리는가 하면, 사람들이 많이 모인 장소에서 격렬한 결투를 벌이기도 했다. 결투는 두 사람이 정해진 규칙에 따랐는데, 이것은 이전 시대 기사도 정신의 잔재였다.  당시 보헤이마 존 국왕은 파리를 '세계에서 기사도의 색채가 가장 강한 곳'이라고 칭송하며 계속 이곳에 머물기를 원했다. 그러나 1331년 파리를 방문한 이탈리아 시인 페트라르카에게는 전혀 낭만적이지 못한 곳이.. 2024. 12.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