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카테리나2세7 [러시아사]#26_왜 예카테리나는 계몽사상을 포기하였을까 예카테리나의 계몽사상을 토대로 한 개혁 시도에도 불구하고 귀족들은 여전히 자신들의 노예를 포기할 수 없었다. 그녀를 가장 가까이하는 신하들조차도 예카테리나 2세의 생각을 이해하지 못했다. 시간이 지날수록 그녀는 자신의 이상과 러시아의 현실 사이에 괴리감을 인정할 수밖에 없었다. 막말로 예카테리나 본인이 계몽사상을 실현할 이유는 사실 없었다. 쨌든, 그 당시 계몽사상의 내용은 상당히 파격적이었고, 이를 강행할 시 그간 쌓아온 모든 업적을 단방에 무너뜨릴 수도 있었기 때문이다. 대제국 건설에 있어서 더 필요한 것은 어쩌면 만인의 평등이 아니라 농노제였을 것이다. 저렴한 노동력은 경제 발전의 원동력이 되니 말이다. 노예는 러시아 제국의 확장과 전쟁에 없어서는 안 되는 존재였다. 그들은 주인을 위해서는 무료로 .. 2023. 12. 12. [러시아사]#23_예카테리나의 영토확장과 유럽식 러시아문화 독일 출신인 예카테리나 2세 주위에는 언제나 외국인들이 넘쳐났다. 게다가 그 주변의 러시아인 모두 유럽적인 성향을 가지고 있었다. 그녀는 러시아가 유럽에서 확고한 위치를 점해야 한다는 사실을 절감하고 있었다. 하지만 현실주의자였던 그녀는 표트르 대제와 마찬가지로 러시아와 유럽 사이에 커다란 차이와 갈등이 존재한다는 사실도 잘 알고 있었다. 유명한 정치가이자 외교관이었던 한 대신은 예카테리나 2세가 세상을 떠난 후 이렇게 말했다. "앞으로 유럽의 판도가 어떻게 변할지는 알 수 없지만 확실한 것은 예카테리나 2세가 여제의 자리에 있고 내가 재상으로 있었을 때는 유럽의 대포가 러시아의 동의 없이는 단 한 방도 발사될 수 없었다는 사실이다." 이처럼 러시아는 예카테리나 시절 때부터 유럽에서 주도적인 역할을 했다.. 2023. 12. 5. [러시아사]#22_예카테리나와 계몽 사상 표트르의 개혁이 군사, 행정, 경제, 기술 분야에 치중했더라면, 예카테리나 2세는 정신적인 측면에 초점을 맞추었다. 현대 러시아 문학과 예술, 사상의 기초를 닦은 것이다. 예카테리나 2세는 경제만 아니라 사상도 유럽과 가까워질 수 있도록 노력했다. 당시 유럽은 계몽사상이 유행하고 있었고 초기에는 예카테리나 2세도 계몽사상가인 볼테르를 가장 좋아하는 작가로 꼽았다. 예카테리나는 볼테르와 같은 계몽사상가들과 늘 편지를 주고받았다. 그녀는 이들을 경제적으로 아낌없이 지원하였다. 황제의 자리에 오른 후에는 그녀는 새로운 법률 제정을 위한 법전편찬위원회를 구성하였는데 이 위원회의 대표에는 농노를 제외한 각 계층의 사람들이 포함되어 있었다. 그녀가 제정한 정치와 법률에는 계몽사상이 녹아져 있었으나, 실제로 시행되지.. 2023. 12. 4. [러시아사]#21_예카테리나 개혁과 그 한계점 예카테리나 2세는 당시 러시아 사람들에게 존경과 경외의 대상이었을 뿐 아니라 당대 미녀들과 겨루어도 손색이 없을 만큼 출중한 미모를 자랑하기도 했다. 사람들은 그녀를 아름다운 미모를 지닌 고대 오리엔트의 전설적인 여제 '세미라미스'라고 부르기도 했다. 예카테리나는 참정원, 총감, 성장들을 통해 러시아 제국 전체를 장악할 수 있었다. 그녀의 독재 정권은 나날이 강해져 갔고 관료제 역시 완벽하진 않았지만 그전보다 확실히 발전해 갔다. 이렇게 예카테리나는 홀몸으로 타국에 와서 자신의 입지를 확실히 다져나갔다. 하지만 여기서 만족했다면 예카테리나는 오늘날만큼의 명성과 존경을 얻지는 못했을 것이다. 정신적으로도 러시아 전체를 장악하고 싶었던 그녀였기에 이제는 러시아의 귀족에게로 시선을 돌렸다. 1763년, 그녀로.. 2023. 12. 4. 이전 1 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