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일본49

[일본 근현대사]#58_정치 선진국은 될 수 없는 일본, 야스쿠니 신사 참배 정치 대국을 향하여 1983년 1월 24일, 나카소네 야스히로 일본 총리는 국회 시정 연설에서 유명한 '전후 정치 총결산'을 제시하고, "일본이 전후 역사상 중대한 전환점에 놓였다.", "과거의 기본 제도와 구조를 새로운 시각으로 바라보고 재인식해야 할 때가 되었다."라고 천명했다. 그는 또 고향인 군마현에서 열린 연설회에서도 "앞으로 세계 정치에서 일본의 발언권을 강화하고, 경제 대국으로서의 비중을 높이는 한편, 정치 대국으로서의 입지를 강화해야 한다."라고 말했다. 1984년 7월, 가루이자와에서 열린 자민당 세미나에서도 "21세기를 대비해 과거 의견이 분분했거나, 계속 회피해 오던 문제에 대해 과감히 논의하고, 통일적인 견해를 새롭게 정립해야 한다. 그래야만 일본이 정정당당하게 세계 무대로 진출하여.. 2024. 1. 29.
[일본 근현대사]#57_세계 2위의 경제 대국, 그 거품이 터지다 세계 제2위의 경제 대국이 되다 이케다 내각이 집권하던 1963년, 일본의 GDP는 676억 달러로 같은 시기 미국의 11.4퍼센트, 서독의 70퍼센트, 영국의 78퍼센트에 달했으며, 1966년까지 실질적인 경제 성장률이 13퍼센트를 기록해 일본은 전체 GNP 규모가 미국과 독일, 영국, 프랑스에 이어 세계 5위를 차지했다. 메이지 유신을 실시한 지 100년째 되던 1968년, 일본의 GNP가 서독을 앞질러 1위인 미국의 바로 뒤를 잇는 2위로 올라섰다. 당시 일본의 국민 소득은 여전히 세계 20위에 머물러 일본인들의 생활이 '세계 제2위 경제 대국'의 국민이라는 말이 무색할 정도였지만, 주요 산업의 국제 경쟁력은 매우 강했다. 일본 경제는 국민 경제의 활력과 고성장률, 낮은 실업률, 안정된 물가를 무기.. 2024. 1. 29.
[일본 근현대사]#54_한국전쟁과 샌프란시스코 조약 자동차 공업도 정부의 특별 지원 대상 산업이었다. 1949년, 미국이 일본을 점령하고 자동차 생산 대수 제한 조치를 폐지했다. 당시 일본의 자동차 생산량은 연간 3만 대에도 못 미쳤다. 그러나 그 후 닛산, 이스즈, 도요타, 히노 등 자동차 생산업체들이 거액을 투자해 외국의 선진기술을 도입해 향후 자동차 제조업의 현대화에 기초를 다진다. 1호기는 수입하고, 2호기 국산으로 일본의 합리화에서 가장 주목할 만한 것은 기술 도입 방식이다. 일본은 거의 모든 기계 공업에 훗날 '1호기 수입, 2호기 국산'이라고 불린 방식이 적용되었다. 일본은 이 방식을 통해 국제적인 선진 기술을 최단 시간에 도입하고 개선해 외국 제품과 대등한 수준의 제품을 국내에서 생산해 국제시장의 문을 두드렸다. 특히 자동차와 전자산업의 성.. 2024. 1. 27.
[일본 근현대사]#51_종전 후 미국의 일본 경제, 교육, 헌법에 대한 개입 신헌법에 의해 의회와 내각 그리고 지방 자치 제도에 대한 개혁도 기본적으로 이루어졌다. 재벌들은 해산하라, 미국의 경제 개입 경제 분야에서는 일본 군국주의를 지탱하던 주요 기반으로서 기생하던 지주 토지 소유제를 개혁해 경작자가 토지를 소유하는 자경농 제도로 변모했다. 연합군 총사령부는 일본 군국주의의 대외 확장에 경제적 기반을 제공했던 재벌을 해산시켰다. 당시 미쓰이, 미쓰비시, 스미토모, 야쓰다 등 10대 재벌이 소유한 기업의 총자산은 전체 기업 총자산의 35퍼센트, 금융자산의 53퍼센트, 중화학 공업의 49퍼센트를 차지했는데, 미국은 조사 보고서를 통해 "일본에서 재벌이 계속 존재한다면 이 나라는 곧 재벌의 나라가 될 것이다"라고 했다. 미국은 지주 회사를 해산시키고, 재벌 가족의 통치권을 취소한다... 2024. 1. 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