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근현대사5 [일본 근현대사]#56_1950-60년대 도쿄 올림픽, 베트남 전쟁 특수를 맞이하다 도로 건설 분야에서는 나고야-고베 간 고속도로가 전면 개통되었고, 승객 및 화물 육상 운송이 빠르게 보급되었다. 항공 분야에서도 지방 항로가 개설되었으며 해외 항로 역시 점점 증가해 미국과 영국에 이어 세 번째로 국내선과 국제선에 제트기화가 실현되었다. 일본의 산업 구조에도 중대한 변화가 나타났다. 중화학 공업의 국제 경쟁력은 시간이 갈수록 향상되었다. 일본의 철강 생산량이 서독을 초월해 세계 3위로 올라섰으며, 자동차 생산량도 미국, 영국, 서독의 뒤를 이어 세계 4위까지 올라갔다. 1963년 중화학 공업이 공업 고정자산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60퍼센트에 달했고, 수출 비율은 1965년에 62퍼센트까지 증가했다. 세계 선진 수준의 최신 설비를 도입한 후 일본은 경제 고속 성장에 부응할 수 있는 중화학 공.. 2024. 1. 28. [일본 근현대사]#36_메이지 헌법, 향후 일본 파시즘의 근원이 되다 제국 헌법 가운데 가장 중요한 것은 천황과 군대에 관한 규정이다. 이것은 일본이 침략 전쟁을 도발하도록 하여 아시아와 세계에 크나큰 재앙을 안겨주었다. 결국 일본 제국을 철저히 패망시킨 원인이기도 하다. 헌법 규정에 따르면, 육·해군의 통솔과 편제 그리고 병력을 결정하는 권한은 순전히 천황에게 있고 의회나 내각과는 전혀 관계가 없었다. 군대 통솔권이 독립적이고 군부가 천황의 직속 기관이기 때문에 군부의 권력이 막강해 심지어는 내각과 의회를 좌지우지하기도 했다. 이 밖에도 천황의 자문기관인 원수부와 군사 참의원은 원수와 육·해군 대신, 참모총장, 군령부 총장으로 구성되어 완전히 군부의 세력에 속했는데, 군부의 의견을 천황에게 전달하는 권리를 가졌다. 따라서 대권을 좌우하고 내각 통제와 정부의 대내외 정책에.. 2024. 1. 10. [일본 근현대사]#27_<학교령 반포>메이지 유신, 교육제도를 수정하다. 1877년, 문부성 관리이자 저명한 학자인 니시무라 시게키는 제2 학구를 시찰한 후 교육 제도를 수정할 필요성을 느꼈다. 절대다수의 소학생이 1~2학년만 마치고 자퇴하고 있던 것이다. 농민들은 학비 부담과 일손 부족 등을 이유로 자식들을 학교에 보내지 않고 있었다. 또한 학교에서 가르치는 과목들 대다수가 농민들의 생활과는 동떨어진, 무관한 개념들이 많았기에 농민들은 새 학교가 실용적인 것을 가르쳤던 과거의 데라코야보다도 못한 것으로 치부하곤 했다. 학제령 폐지 학제령은 시행 7년 만인 1879년에 폐지되었다. 그리고 새로운 '교육령'이 반포되었다. 새 교육령은 다나카 후지마로와 미국인 고문 데이비드 머레이, 이토 히로부미가 미국식 자유 교육 사상에 근거해 제정하였다. 중앙 집권을 주장하는 프랑스의 교육 .. 2024. 1. 4. [일본 근현대사]#24_메이지 유신, 개화의 바람이 불다. 1873년 3월 20일 오후, 황궁에서 천황의 시중을 드는 여관들이 여느 때처럼 천황이 있는 어학문소에 도착했다. 그들은 여느 때처럼 천황의 머리를 빗겨주고, 당시의 궁중 풍습에 따라 천황의 얼굴에 분과 연지를 발라주어야 했다. 그런데 문을 열고 들어간 여관들이 그 자리에서 멈칫 서더니 낯빛이 하얗게 질렸다. 천황이 자기 머리카락을 잘라버린 것이 아닌가. 이는 일본 역사상 처음 벌어진 일이었다. 서양 문명을 좇아서 메이지 유신 이전까지 일본인들은 머리를 길게 길렀다. 그리고 무사들은 양쪽에 검을 차고 다닐 수 있는 권력도 가지고 있었다. 이것은 그들의 신분을 상징하는 것이자 생활 풍습이었다. 당시 일본에는 계급 제도가 매우 엄격해 화족과 평민의 통혼은 금지되었고, 옷차림만으로도 신분이 어떻게 되는지를 판.. 2024. 1. 2. 이전 1 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