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2차 세계대전3 [러시아사]#58_제2차 세계대전에서 승리하다 제2차 세계대전 종식 1943년 2월 2일, 200여 일 동안 꿋꿋하게 버틴 소련의 적군은 결국 스탈린그라드 전투에서 승리했다. 그리고 이 전투에서의 승리는 소련에서의 전쟁은 물론 세계대전에서도 중요한 전환점이 됐다. 1945년 5월 1일은 세계 반파시스트 전쟁의 승전고가 울린 날이었다. 이날 예고로프 중사와 칸타리아 중사는 독일의 제국의회 의사당 꼭대기에 붉은 깃발을 꽂았다. 그 하루 전 히틀러는 자살로 생을 마감했고, 나치 정권은 와해하고 말았다. 그리고 7일 후 독일은 소련의 주코프 장군에게 투항을 알려왔다. 독일이 패망한 그해 미국, 영국, 소련의 수뇌들은 얄타에서 회담을 가졌다. 이는 대국적 색채를 강하게 띠는 회담으로 세계에서 가장 힘 있는 세 개 국가가 전후 처리를 의논하는 자리였다. 이는 .. 2024. 3. 9. [러시아사]#56_제2차 세계대전과 소련 스탈린 집권 당시 소련의 국제 관계 정권을 잡은 스탈린은 곧바로 소련의 대외 관계 개선을 위해 노력했다. 사람들은 코민테른이 1943년에 해산됐다고 하지만 그것은 잘못 알고 있는 사실이다. 코민테른의 마지막 회의는 1935년 여름에 열렸다. 그 회의에서는 아주 중요한 사안이 하나 결정됐는데, 바로 인민전선에 대한 무조건적인 지원이었다. 즉, 더 이상의 혁명을 포기하고 반파시스트를 부르짖는 민주 세력과 함께 평화적인 수단을 통해 정권을 획득하기로 결정한 것이다. 이것이 이른바 의회 노선이다. 스탈린은 소련이 동서로부터 전쟁의 위협을 받고 있다는 사실을 알고 있었기에 온 힘을 다해 잠재적인 동맹국들과 협정을 맺고 그들과 함께 외부의 침략을 막으려 했다. 1934년, 소련은 국제연맹에 가입했다. 사실 그전까지.. 2024. 3. 8. [일본 근현대사]#54_한국전쟁과 샌프란시스코 조약 자동차 공업도 정부의 특별 지원 대상 산업이었다. 1949년, 미국이 일본을 점령하고 자동차 생산 대수 제한 조치를 폐지했다. 당시 일본의 자동차 생산량은 연간 3만 대에도 못 미쳤다. 그러나 그 후 닛산, 이스즈, 도요타, 히노 등 자동차 생산업체들이 거액을 투자해 외국의 선진기술을 도입해 향후 자동차 제조업의 현대화에 기초를 다진다. 1호기는 수입하고, 2호기 국산으로 일본의 합리화에서 가장 주목할 만한 것은 기술 도입 방식이다. 일본은 거의 모든 기계 공업에 훗날 '1호기 수입, 2호기 국산'이라고 불린 방식이 적용되었다. 일본은 이 방식을 통해 국제적인 선진 기술을 최단 시간에 도입하고 개선해 외국 제품과 대등한 수준의 제품을 국내에서 생산해 국제시장의 문을 두드렸다. 특히 자동차와 전자산업의 성.. 2024. 1. 27.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