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7세기 영국13 [영국]#55_중앙은행의 어머니, 잉글랜드 은행 뉴턴과 로버트 훅의 논쟁 아이작 뉴턴은 그다지 대인관계가 좋지는 못했다. 그는 당대에 유명한 과학자 로버트 훅과 어떤 이론을 누가 먼저 생각해 냈는지를 두고 자주 논쟁을 벌였다. 일화에 따르면, 뉴턴은 훅을 지독히 싫어해서 그의 초상화를 모두 없애버렸다고 한다. 그 때문인지 오늘날 뉴턴의 초상화가 4~5장 정도 남아 있는 것에 비해, 훅의 초상화는 단 한 장도 전해지지 않고 있다.뉴턴 체계의 본질 뉴턴은 전통적인 연금술에 깊이 심취해 있었다. 그는 그 비밀을 캐내기 위해 엄청난 시간을 들여 연구했다. 뉴턴은 '자연철학의 수학적 원리'에서 우주 공간에 작용하는 중요한 개념에 대해 제시하였다. 그 힘은 분명 존재하지만 증명할 수도, 또 증명할 필요도 없다고 주장했다. 이런 그의 생각은 연금술에 대한 연구에서.. 2024. 8. 24. [영국]#54_아이작 뉴턴과 과학혁명 두번째 이야기 아이작 뉴턴, 그 이후의 삶 과거 인류의 사상은 미신과 공포감에 지배당하고 있었다. 물은 왜 아래로 떨어질까? 태양은 왜 떠오르고 지는 걸까? 등 지금 생각하면 너무도 간단한 문제이지만, 당시 사람들에게는 '신의 신비한 힘'이 아니고서는 도저히 설명할 방도가 없었다. 뉴턴이 등장하면서부터 인류는 무지에서 벗어날 수 있었다. 그는 위대한 저작을 통해 과학 시대의 도래를 널리 알렸다. 신의 발아래 꿇어 있던 인류는 비로소 제 눈으로 세상을 보기 시작했다. 오늘날까지도 많은 서양인은 인류에 끼친 영향력에 비추어 이슬람교를 창시한 마호메트 다음으로 뉴턴을 꼽기도 한다. 뉴턴이 본 세상은 정확한 법칙과 원리에 의해 지배되는 곳이었다. 그리고 만유인력이 바로 그 중심에 있었다. 인력의 지배를 받기 때문에 행성은 예.. 2024. 8. 23. [영국]#53_아이작 뉴턴과 과학혁명 첫번째 이야기 아이작 뉴턴과 과학혁명 근대 과학의 기원을 따지자면 코페르니쿠스와 갈릴레오의 시대로 거슬러 올라갈 수 있다. 하지만 근대 과학의 대표적인 인물은 다름 아닌 아이작 뉴턴(1642~1727)이다. 뉴턴이 발표한 학설은 산업혁명보다 80년을 앞서 있다. 그 때문에 수많은 역사가는 뉴턴이 산업혁명에 기여한 공적을 결코 무시할 수 없다고 말한다. 이 위대한 과학자의 사과나무 에피소드는 대다수의 사람에게 이미 친숙한 이야깃거리이다. 케임브리지 대학교 트리니티 칼리지 본관 근처에 있는 사과나무는 후대 사람들이 뉴턴을 기리기 위해 심은 나무이다. 하지만 실제로 뉴턴이 머리에 사과를 맞고 만유인력의 법칙을 발견하게 되었는지는 알 수 없다. 뉴턴의 등장은 17세기 과학혁명을 끌어냈다. 뉴턴과 동시대에 살았던 한 작가는 뉴.. 2024. 8. 22. [영국]#41_영국의 입헌군주제와 존 로크 사상 강력한 군주와 전제 군주 유럽과 영국 사회가 중세에서 현대로 넘어갈 때, 강력한 군주제도는 필수적으로 거쳐야 할 과정이었다. 강력한 군주는 이들 국가에 큰 이득을 가져다주었으며, 국왕은 국가가 나아가야 할 방향을 명확히 제시해 주는 '애국주의'의 표상이었다. 16, 17세기에 군주들은 각 민족국가의 부흥을 이끌었다. 하지만 강력한 왕권이 전제정치를 의미하는 건 아니었다. 전제적인 군주는 신민의 의견을 전혀 받아들이지 않고, 반대에 부딪혔을 때도 결코 이를 수용하거나 타협하지 않았다.입헌군주제의 형성 1688년 이후, 영국에서는 입헌군주제가 정착하게 된다. 군주는 군림하되 통치하지 않게 된 것이다. 국왕은 정책을 결정할 때 의회의 동의를 거쳐야 했으며, 외국과 조약을 체결할 때도 의회의 비준을 얻어야 했다.. 2024. 8. 8. 이전 1 2 3 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