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7세기 유럽2 [영국]#41_영국의 입헌군주제와 존 로크 사상 강력한 군주와 전제 군주 유럽과 영국 사회가 중세에서 현대로 넘어갈 때, 강력한 군주제도는 필수적으로 거쳐야 할 과정이었다. 강력한 군주는 이들 국가에 큰 이득을 가져다주었으며, 국왕은 국가가 나아가야 할 방향을 명확히 제시해 주는 '애국주의'의 표상이었다. 16, 17세기에 군주들은 각 민족국가의 부흥을 이끌었다. 하지만 강력한 왕권이 전제정치를 의미하는 건 아니었다. 전제적인 군주는 신민의 의견을 전혀 받아들이지 않고, 반대에 부딪혔을 때도 결코 이를 수용하거나 타협하지 않았다.입헌군주제의 형성 1688년 이후, 영국에서는 입헌군주제가 정착하게 된다. 군주는 군림하되 통치하지 않게 된 것이다. 국왕은 정책을 결정할 때 의회의 동의를 거쳐야 했으며, 외국과 조약을 체결할 때도 의회의 비준을 얻어야 했다.. 2024. 8. 8. [스페인 마무리] 17세기, 유럽의 이류 국가가 된 스페인 17세기 유럽 스페인의 봉건 계급제도는 스페인 사회에 특별한 사회 풍조를 만들었다. 스페인의 많은 상인들은 큰돈을 번 후 앞다퉈 귀족 신분을 사들였다. 이를 위해 상인들은 권력자들에게 온갖 아부를 하며 돈을 아끼지 않았다. 또한 부자가 된 상인들은 자녀 교육을 위해 아낌없이 돈을 투자했는데, 실상 상인의 자식들은 대부분 향락에 빠져 있었다. 이러한 사치 풍조는 스페인 사람들은 일하기 싫어하고 놀기 좋아하는 게으른 습관에 길들게 했다. 스페인은 오랫동안 네덜란드와 독립을 저지하는 전쟁을 치렀고, 영국과의 바다의 패권 다툼을 위한 전쟁도 끊이질 않았다. 영국은 17세기 중반에 이르러 30년 전쟁을 통해 스페인을 무너뜨렸다. 1648년 유럽 각국은 30년 전쟁의 막을 내리기 위해 베스트팔렌 조약을 체결했다. .. 2024. 6. 10.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