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세기 유럽10 [영국]#57_애덤 스미스의 국부론 애덤 스미스의 국부론 스미스는 '국부론'에서 당시로서는 파격적인 사상을 펼쳤다. "경쟁은 독점이 아니라 국가의 부를 증대시키는 동력이다. 모든 상업에서 이득을 얻는 법칙은 가능한 한 싸게 사서 비싸게 파는 것이다. 가장 이상적인 구매는 모든 국가가 완전히 자유로운 상태에서 물건을 거래할 때 가능하며, 동시에 가장 이상적인 판매는 시장에 소비자가 아주 많을 때 가능하다." 그는 한 국가의 경제가 가장 자유롭고 여유로울 때 발전을 이룰 수 있으며, 국가의 지나친 간섭은 경제발전을 저해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 그리고 아무런 제약 없이 순전히 경제법칙을 따르기만 하면, 어느 국가든 부강해질 수 있다고 생각했다. 스미스는 경쟁이 어떻게 사회를 발전시키는가에 대해서 그 유명한 '보이지 않는 손'의 이론을 들어 설명.. 2024. 8. 27. [영국]#56_경제학의 아버지, 애덤 스미스의 생애 경제학의 아버지, 애덤 스미스 18세기는 영국의 산업혁명이 최고조에 달했던 시기였다. 제임스 와트와 맽 볼턴이 버밍엄에서 증기 엔진의 완성에 다가가고 있을 무렵, 런던에서는 50세 된 한 학자가 책을 출간하기 전에 마지막 원고를 손보고 있었다. 이 원고는 아주 특별한 엔진, 즉 사상의 엔진이 나타나 인류의 부를 증대시키는 데 끊임없는 '동력'을 제공해 줄 것이라는 내용을 담고 있었다. 이 원고는 '국가의 부의 성질과 원인에 관한 고찰(이하 '국부론')'이라는 이름으로 출간되었다. 이 책의 저자가 바로 애덤 스미스(1723~1790)이다. 그는 이 책에서 당시 영국을 휩쓸던 중상주의 경제관에 대해 의문을 제기했다. 1621년, 영국의 경제학자 토머스 먼은 '영국에서 동인도로의 무역론'을 발표하여 중상주.. 2024. 8. 26. [영국]#52_영국의 루너 소사이어티 그리고 증기기관차의 등장 산업가의 산실, 루너 소사이어티 루너 소사이어티(Lunar Society, 달 협회)는 영국 중부의 산업지대에서 생겨난 모임이다. 회원들은 대부분 버밍엄 혹은 그 근처에 거주했고, 모두 산업사회의 영향을 받았던 사람들이었다. 공장주만 아니라 의사나 과학자, 자연철학자, 교사 등 각기 다른 배경을 지난 사람들이 매달 모임을 가졌다. 18세기에 영국의 중부지역은 이미 산업의 중심지였고, 이들은 과학에 매우 깊은 관심을 보였다. 회원들은 대부분 선진적인 사고와 현대적인 의식을 지닌 사람들이었고, 한 달에 한 번씩 보름달이 뜨는 밤에 모여 자연철학과 공업, 의학 등에 대한 문제를 토론했다. 모임의 명칭은 주로 밤에 모이던 이들이 밤길에 안전하게 귀가할 수 있도록 달 밝은 밤을 택했다는 데서 붙여졌다고 한다. 이.. 2024. 8. 21. [영국]#51_근대 과학의 발전과 프랜시스 베이컨 영국, 근대 과학의 발전 1785년, 영국에는 증기를 동력으로 사용하는 최초의 면방직 공장이 들어섰다. 1830년대 이후, 증기 동력은 면방직 산업에 널리 보급되었고 차츰 수력의 비중을 넘어서기 시작했다. 산업혁명의 선두에 섰던 면방직 산업은 또다시 증기 동력 기계를 도입한 최초의 산업이 되었다. 기계의 증기 동력화가 완성되면서 공장제도가 점차 확립되기 시작했다. 1840년이 되자 면방직 산업에 종사하는 공장노동자 수는 수공 노동자 수의 두 배를 넘어섰다. 와트 기관의 등장으로 인해 방직, 채광, 야금 등의 산업도 빠른 속도로 발전했다. 특히 와트 기관을 제작하는 기계제조업이 특수를 누렸다. 1812년에는 증기기관을 이용한 선박이 등장했고, 1814년에는 조지 스티븐슨이 세계 최초로 증기기관차를 제작하여.. 2024. 8. 20. 이전 1 2 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