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나폴레옹6

[영국]#57_애덤 스미스의 국부론 애덤 스미스의 국부론 스미스는 '국부론'에서 당시로서는 파격적인 사상을 펼쳤다. "경쟁은 독점이 아니라 국가의 부를 증대시키는 동력이다. 모든 상업에서 이득을 얻는 법칙은 가능한 한 싸게 사서 비싸게 파는 것이다. 가장 이상적인 구매는 모든 국가가 완전히 자유로운 상태에서 물건을 거래할 때 가능하며, 동시에 가장 이상적인 판매는 시장에 소비자가 아주 많을 때 가능하다." 그는 한 국가의 경제가 가장 자유롭고 여유로울 때 발전을 이룰 수 있으며, 국가의 지나친 간섭은 경제발전을 저해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 그리고 아무런 제약 없이 순전히 경제법칙을 따르기만 하면, 어느 국가든 부강해질 수 있다고 생각했다. 스미스는 경쟁이 어떻게 사회를 발전시키는가에 대해서 그 유명한 '보이지 않는 손'의 이론을 들어 설명.. 2024. 8. 27.
[영국]#43_대영제국으로 가는 과정 영국의 식민 통치 방식 18세기 영국의 식민 통치는 스페인이나 포르투갈처럼 강압적이진 않았다. 영국은 북아메리카와 카리브해의 식민지에서 대부분 선거를 통해 식민지 정부를 구성했다. 따라서 런던 정부의 간섭은 제한적이었다. 반면, 스페인과 포르투갈은 중앙집권적 관리방식을 통해 식민지를 지배했다. 18세기뿐 아니라 19, 20세기에 걸쳐 영국이 거대한 식민제국을 이룰 수 있었던 이유는 바로 영국 정부가 식민지 정부에 좀 더 많은 책임과 권리를 부여해 불만을 조금이나마 더 줄였기 때문일 수도 있다.영국의 영향력 확대 및 제국의 성장 7년 전쟁이 끝난 후, 영국은 급속도로 팽창하기 시작했다. 프랑스가 캐나다에서 쫓겨나다시피 하면서 북아메리카도 영국인의 수중에 들어갔다. 아프리카에서도 영국과 영토분쟁을 하던 프랑.. 2024. 8. 10.
[러시아사]#32_쿠투조프의 일생과 러시아에 찾아온 자유주의 쿠투조프 장군의 일생 쿠투조프는 예카테리나 2세, 파벨 1세, 알렉산드르 1세, 모두 세 명의 황제를 섬겼다. 험난하면서도 찬란했던 그의 일생은 모두 이 세 명의 군주와 관련이 있다. 게다가 그의 인생은 군주에 따라 극과 극을 달렸다. 그가 처음으로 전쟁에서 다쳤을 때 그가 소속됐던 부대의 총사령관은 예카테리나 2세에게 당시 상황을 다음과 같이 보고했다. "모스크바 군대의 부상자 중 쿠투조프라 불리는 중위가 있습니다. 그는 새롭게 조직된 부대를 통솔하는 능력이 매우 뛰어나 노련한 군인들을 능가할 정도입니다." 그러자 여제는 쿠투조프에게 1만 루블의 상금을 하사했으며 직접 의사를 찾아가 이렇게 부탁했다. "반드시 쿠투조프의 부상을 낫게 해야 해요. 그는 큰 장군이 될 인물이에요." 쿠투조프는 용맹했을 뿐 .. 2024. 2. 5.
[러시아사]#31_나폴레옹의 패배, 러시아의 위세를 높이다 나폴레옹 참패하다 1812년 10월 19일, 나폴레옹은 결국 러시아에서 철수를 결정한다. 원래 나폴레옹의 계획은 계속 남하해 칼루가를 차지하는 것이었지만 이미 두 번이나 쿠투조프에게 패했기에 어쩔 수 없이 이미 프랑스군에 의해 폐허가 된 스몰렌스크 거리에서 후퇴해야만 했다. 쿠투조프는 이 기회를 놓치지 않았다. 후퇴하는 나폴레옹을 군대를 조직해 반격하기 시작했다. 프랑스군은 대열도 갖추지 못한 채 허둥거렸고 남은 인원들은 베르지나 강에서 다시 한번 공격을 당한 뒤 허겁지겁 국경으로 도망쳐버렸다. 쿠투조프의 재빠르고 시기적절한 전술은 무적이라 여겨지던 나폴레옹의 대군을 이렇듯 가볍게 격파했다. 이처럼 전세가 역전되자 러시아 병사들은 "러시아의 구세주 만세!"라며 쿠투조프를 소리 높여 찬양했다. 그러나 쿠투.. 2024. 2.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