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영국 의회5

[영국]#26_찰스 1세, 영국내전의 전초전 영국, 내전의 바람이 불다 왕권의 본질에 반대하는 것은 곧 전제정치를 반대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는 현대국가에서 정치적 기반이 되는 필수 요소이다. 이런 맥락에서 영국인은 세계 어느 나라보다 적은 수업료를 내고 고도의 정치적 실험을 한 셈이었다. 햄던 사건으로 국왕의 권위가 실추된 데다 고갈된 재정을 채울 길마저 막막해진 상태에서 찰스 1세는 또다시 전쟁에 휘말렸다. 그야말로 엎친 데 덮친 격이었다. 만약 이 전쟁이 발발하지 않았다면, 찰스 1세는 그의 아버지처럼 모든 책임을 후계자에게 물려준 채 조용히 생을 마감할 수 있었을지도 모른다. 하지만 누구를 원망할 수도 없는 것이, 이 전쟁은 바로 찰스 자신의 어리석음이 발발한 것이었다. 찰스 1세는 당시 청교도가 장악하고 있던 의회와 갈등하는 상황에서 장.. 2024. 7. 12.
[영국]#24_찰스 1세와 의회의 대립 찰스 1세, 왕위에 오르다 1625년, 찰스 1세는 제임스 1세의 뒤를 이어 왕위에 올랐다. 젊은 국왕은 부왕의 명석함보다는 오히려 '왕권신수설'을 제창했던 부왕의 고집을 물려받았다. 그는 약간의 말더듬이에다가 매사 우유부단했지만, 왕권신수설을 통치방침으로 삼으면서 독단적인 군왕이 되었다. 찰스 1세가 '국왕의 권력은 하늘이 부여한 것'이라는 확고한 신념을 정치에 반영하면서부터 그와 잉글랜드는 일대 혼란의 도가니로 빠져들었다. 그리고 이 혼란은 찰스 1세가 처형된 후에도 몇십 년간이나 지속되었다. 이 시기의 영국은 전통사회에서 현대사회로 넘어가는 과도기에 있었으며, 이 나라가 역사의 파도를 안전하게 건널 수 있을지는 국왕의 능력과 지도력에 달려 있었다. 결국 이 범선의 선장인 찰스 국왕이 국가의 운명을 .. 2024. 7. 9.
[영국]#13_에드워드 1세와 스코틀랜드, 영국 의회의 발전 과정 에드워드 1세와 스코틀랜드 1296년, 에드워드는 스코틀랜드와 전쟁을 벌인 후 스코틀랜드의 보물인 대관식용 스콘석을 빼앗아 왔다. '리아 파르'라고 불리는 이 성스러운 돌은 1998년에 이르러서야 스코틀랜드의 수도인 에든버러로 반환되었다. 하지만 에드워드 1세는 스코틀랜드를 잉글랜드에 복속시키는 데는 실패했다. 에드워드 1세에 대한 스코틀랜드인의 원한은 오늘날까지 전해져 내려올 정도로 뿌리가 깊다. 이는 1995년에 나온 영화 '브레이브 하트'에 생생하게 묘사되어 있다. 에드워드 1세는 부왕인 헨리 3세가 겪었던 수모를 보면서 귀족들이야말로 왕권에 대한 가장 위협적인 세력이라는 생각을 품었다. 그는 시몽이 왕권을 제한하기 위해 만든 의회를 오히려 귀족 세력을 제한하기 위한 도구로 이용했다. 귀족이 장악하.. 2024. 6. 25.
[영국]#12_영국 의회의 탄생 과정 영국 의회의 탄생 오늘날 영국의 소도시 옥스퍼드는 옥스퍼드 대학교로 잘 알려져 있다. 매년 세계 각국에서 온 수많은 관광객이 이곳을 찾지만, 이 작은 소도시가 영국 역사에서 중대한 사건이 일어났던 곳임을 아는 사람은 많지 않다. 1258년, 헨리 3세는 시칠리아 원정에 필요한 군비 문제를 논의하기 위해 옥스퍼드에서 대규모 의회를 소집했다. 하지만 헨리 3세의 실정에 불만을 품고 있던 귀족들은 이 기회를 틈타 군사를 일으키기로 했다. 이윽고 헨리 3세의 매부였던 레스터 백작 시몽 드 몽포르가 무장한 7명의 귀족을 대동하고 궁정에 쿠데타를 일으켰다. 그들은 헨리 3세에게 재정적 지원을 해주는 대신, 왕권을 제한하는 조항이 포함된 '옥스퍼드 조례'에 조인할 것을 요구했다. 국정개혁안인 이 '옥스퍼드 조례'에 .. 2024. 6. 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