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영국사55

[영국]#61(마무리)_만국박람회, 대영제국의 절정을 보여주다 영국의 번성을 세계에 알려라, 만국박람회 1851년, 앨버트 공의 건의로 런던에서 제1회 만국박람회가 개최되었다. 그해 런던의 하이드파크에는 신기하게 생긴 건축물이 등장했다. 강철과 유리로 만들어진 이 건물은 전통적인 건물과는 아주 다른 모습이었다. 그것은 철골로 지지대를 만들고 천장과 벽면을 온통 큰 유리로 장식한 만국박람회의 대형 전시관이었다. 당시 사람들은 이 건물을 크리스털 궁이라고 불렀다. 이 획기적인 건축물은 현대의 유리온실 전시관의 표준이 되었다. 크리스털 궁은 강철과 유리 건축 설계로 유명한 조지프 팩스턴의 작품이었다.  하지만 오늘날에는 이 신비로운 건물을 볼 수가 없다. 1936년 11월 30일 밤에 일어난 대화재로 모두 불타버렸기 때문이다. 현재에는 당시 그려진 그림들을 통해서만 그 .. 2024. 8. 31.
[영국]#60_빅토리아 여왕, 세상을 평정하다 빅토리아 여왕의 시대 1839년, 러시아의 젊은 황태자 알렉산드르가 빅토리아 여왕의 스무 번째 생일을 축하하기 위해 런던을 방문했다. 21세의 황태자는 아주 준수하고 우아한 귀공자였다. 젊은 여왕은 곧 마음이 흔들렸고 궁전에서 벌어진 무도회에서 그와 춤을 추기도 했다. 후에 떨리는 마음을 진정시키지 못한 여왕은 총리의 부인에게 알렉산드르에게 큰 매력을 느꼈다고 털어놓았다. 이들은 곧 친한 친구가 되었다.  하지만 빅토리아 여왕은 정치적인 이유로 자신의 감정을 희생해야 했다. 여왕이 러시아 황태자에게 마음을 두고 있다는 것을 안 영국 정부는 불안감에 휩싸였다. 그들은 러시아가 빠른 속도로 성장하고 있고, 곧 대영제국에 큰 위협으로 다가올 것이라고 생각했다.  이 로맨스의 결과는 아주 싱겁게 끝이 났다. 1.. 2024. 8. 30.
[영국]#58_19세기 산업화된 대영제국의 경제 호황 19세기 영국 무역 정책과 영국의 호황 영국은 산업 부문에서의 경쟁우위를 적극 이용해 자유무역 정책을 시행했다. 무역장벽을 제거하여 해외시장을 확대했다. 영국은 스스로 타국 제품의 수입 장벽을 철폐하고, 다른 나라에도 영국 제품에 대해 동일한 조처를 해 달라고 요구했다. 이를 통해 자유무역은 영국의 핵심적인 국가정책이 되었으며, 영국 제품은 전 세계 시장에서 불티나게 팔려나갔다. 또한 1894년, 약 2세기 동안 시행되었던 '항해조례'도 폐지되었다.  크롬웰 시대의 '항해조례'는 영국-네덜란드 전쟁이 발발하기 이전에 제정된 법률이었다. 여기에는 영국 및 기타 국가의 화물을 수입할 때는 반드시 영국 또는 수출국의 선박을 이용해야 한다는 규정이 있다. 해양 강국이었던 영국은 '항해조례'를 폐지한 후 해운시장.. 2024. 8. 28.
[영국]#57_애덤 스미스의 국부론 애덤 스미스의 국부론 스미스는 '국부론'에서 당시로서는 파격적인 사상을 펼쳤다. "경쟁은 독점이 아니라 국가의 부를 증대시키는 동력이다. 모든 상업에서 이득을 얻는 법칙은 가능한 한 싸게 사서 비싸게 파는 것이다. 가장 이상적인 구매는 모든 국가가 완전히 자유로운 상태에서 물건을 거래할 때 가능하며, 동시에 가장 이상적인 판매는 시장에 소비자가 아주 많을 때 가능하다." 그는 한 국가의 경제가 가장 자유롭고 여유로울 때 발전을 이룰 수 있으며, 국가의 지나친 간섭은 경제발전을 저해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 그리고 아무런 제약 없이 순전히 경제법칙을 따르기만 하면, 어느 국가든 부강해질 수 있다고 생각했다. 스미스는 경쟁이 어떻게 사회를 발전시키는가에 대해서 그 유명한 '보이지 않는 손'의 이론을 들어 설명.. 2024. 8. 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