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경제성장2 [일본 근현대사]#56_1950-60년대 도쿄 올림픽, 베트남 전쟁 특수를 맞이하다 도로 건설 분야에서는 나고야-고베 간 고속도로가 전면 개통되었고, 승객 및 화물 육상 운송이 빠르게 보급되었다. 항공 분야에서도 지방 항로가 개설되었으며 해외 항로 역시 점점 증가해 미국과 영국에 이어 세 번째로 국내선과 국제선에 제트기화가 실현되었다. 일본의 산업 구조에도 중대한 변화가 나타났다. 중화학 공업의 국제 경쟁력은 시간이 갈수록 향상되었다. 일본의 철강 생산량이 서독을 초월해 세계 3위로 올라섰으며, 자동차 생산량도 미국, 영국, 서독의 뒤를 이어 세계 4위까지 올라갔다. 1963년 중화학 공업이 공업 고정자산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60퍼센트에 달했고, 수출 비율은 1965년에 62퍼센트까지 증가했다. 세계 선진 수준의 최신 설비를 도입한 후 일본은 경제 고속 성장에 부응할 수 있는 중화학 공.. 2024. 1. 28. [일본 근현대사]#55_국민 소득 배증 계획, 신칸센의 등장과 소비 인식 향상 국민 소득 배증 계획 1950년대 말, 도쿄의 한 식당에서 이케다 하야토와 몇몇 학자들이 정기 모임을 가졌다. 이 모임은 이케다 하야토의 싱크탱크인 '고치카이'의 주 1회 정기모임이었다. 이케다 하야토는 일본 경제 정책을 주도해 온 주요 경제 관료로 요시다 시게루 내각에서 대장성을 주관하며 통산상과 경제심의청 장관을 역임했다. 바로 이때, 젊은 경제 전문가인 시모무라 오사무의 주장이 이케다 하야토의 관심을 끈 것이다. 1950년대 중반, 아직 박사 과정을 밟고 있던 시모무라 오사무는 일본 경제의 두 자릿수 성장을 예측했다. 이케다의 경제 자문인 다무라 빈고는 그를 이케다에게 추천했다. 그러나 공식적인 정부 계획안에 명시할 숫자를 둘러싸고 시모무라와 다무라 사이에 한바탕 설전이 벌어졌다. 시모무라는 11퍼.. 2024. 1. 27.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