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역사학233

[러시아사]#52_스탈린의 등장, 소련 고속 공업화의 길을 걷다 소련 공업화 노선을 취하다 레닌의 빈자리를 스탈린이 채웠다. 스탈린이 물려받은 소련은 여전히 자본주의 국가들에 의해 둘러싸여 있었다. 1920년대는 자본주의 황금시대였다. 서양의 각국은 제1차 세계대전 후유증에서 벗어났고, 주요 국가의 공업 생산량은 전쟁 전의 150퍼센트를 웃돌았다. 일부 서양 경제학자들은 자본주의로 인해 빈곤이 사라졌으며 서양 세계는 이미 영원한 번영의 단계에 들어섰다고 평가했다. 당시만 해도 곧 다가올 경제 위기를 예측하는 사람은 거의 없었다. 눈앞의 번영으로 자신감이 가득했던 서양 세계는 여전히 소련 경제에 대한 봉쇄 정책을 풀지 않았다. 1927년, 영국은 소련과의 단교를 선언하고 1921년 서명한 영소 무역협정을 무효로 했다. 한편 영국의 외무장관 체임벌린은 6개국 외무장관 회.. 2024. 3. 6.
[러시아사]#51_세계 최초의 사회주의 국가 소련의 탄생과 레닌의 죽음 러시아를 공업 국가로 바꾼 레닌 많은 국가에서 문화와 교육을 흡수했던 레닌은 죽은 것이나 다름없던 러시아를 심폐 소생하기 시작했다. 1918년부터 4년 동안 네 가지 정책, 즉 전시공산주의, 식량 징발제, 식량 세제, 신경제 정책을 시행했으며, 전국을 전기화하는 계획과 공업 발전 계획을 제안했다. 스탈린이 10년이라는 짧은 시간 동안 9,000개의 공장을 짓고 각종 내실 있는 경제 성과를 달성하며 수많은 지식인과 군인들을 배출해 낼 수 있었던 것도 레닌이 그 기반을 다져놓은 덕분이었다. 1941년 파시스트와의 전쟁이 일어났을 때 러시아는 이미 튼튼한 산업 기반을 가지고 있었다. 러시아는 당시 세계에서 가장 뛰어나다고 평가된 탱크 T34와 전투기 L2, 그리고 로켓 시스템 카추샤를 보유하고 있었다. 러시아.. 2024. 3. 6.
[러시아사]#50_소련의 신경제 정책과 미국인 '아먼드 해머' 신경제 정책의 의의 레닌은 신경제 정책을 통해 러시아의 산업이 국가의 통제를 벗어날 수 있을 거라고는 생각하지 않았다. 당시 소비에트 정부는 사유 재산가들에게 다음과 같이 요구했다. "공장으로 돌아가 10~15년 안에 공장이 다시 일어설 수 있게끔 해주시오." 하지만 자신들의 공장으로 돌아간 사람은 많지 않았다. 그래서 일부 대기업은 정부가 관리를 하기 시작했다. 물론 신경제 정책으로 무역은 활기를 되찾았다. 신경제 정책을 시행하는 동안 개인이 운영하는 기업은 무역업의 50퍼센트를 차지했다. 하지만 공업 분야에서는 개인 기업의 비중이 고작 18퍼센트에 그쳤다. 레닌은 자본이나 은행을 착취의 산물이라고 인식했다. 하지만 러시아 내에서의 차용 기업은 허락했다. 미국인 기업가인 해머가 이에 적극 동참했지만, .. 2024. 3. 3.
[러시아사]#49_신경제 정책 이후 미국과 소련의 무역 신경제 정책에 있어 가장 핵심적인 문제는 사회주의와 시장 경제를 직접 연결함으로써 농민의 적극성을 끌어내 그들과 함께 사회주의를 건설하는 것이었다. 이 때문에 농민을 사회주의 경제와 결합할 수 있도록 상업을 발전해야만 했다. 상업 분야에 있어 신경제 정책이 가장 먼저 시행했던 것은 공산품을 농산물과 맞바꾸는 물물 교환이었다. 하지만 화폐를 통해 거래하는 방식에 익숙했던 러시아의 아낙들은 물물 교환을 하지 않으려 했다. 게다가 공산품이 도달하는 시간은 항상 늦었다. 그러자 레닌은 국내의 자유 무역과 은행 시스템을 회복하고 국영 백화점을 설립할 것을 선포했다. 모스크바 붉은 광장 한편에 자리 잡고 있으며 오늘날 러시아 여행에서 빼놓을 수 없는 쇼핑 명소가 된 이 국영 백화점은 1921년 영업을 시작했다. 러.. 2024. 3.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