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251

[일본 근현대사]#46_일본의 만주사변과 중국의 국공합작 1931년 9월 18일, 중국 선양 북부 류탸오거우에서 관동군 독립수비대의 고모토 스에모리 중위가 사병 6명을 데리고 남만 철도 선로 위에 황색 폭약 42포를 설치했다. 얼마 후 굉음과 함께 철로가 폭파되었다. 이 일은 중국 군대를 모함하기 위해 일으킨 사건이었다. 9.18 만주사변 얼마 후, 4킬로미터 밖에 매복해 있던 카와시마 타다시 대위가 중국 군대에 공격을 퍼부었다. 이는 일본군이 이미 오랫동안 준비해 온 대규모 행동으로, 중국 동북부를 점령하는 데 그 목적이 있었다. 9월 19일, 안둥, 잉커우, 창춘, 펑황청이 일본군에게 점령당했다. 장제스의 훈령에 따라 장쉐량은 저항하지 말 것을 명령했다. 하지만 관리들은 자기들 목숨 부지하는 게 최우선이어서 도망가기 바빴다. 불과 4개월 동안 일본은 산해관.. 2024. 1. 17.
[일본 근현대사]#45_대공황과 군국주의 길을 걷는 일본 1921년, 미국 정부가 일본, 영국, 프랑스, 이탈리아, 중국 등 9개국을 초청해 워싱턴에서 회의를 열고, 일본에 강한 공세를 펼쳤다. 미국은 일본에 해군의 군비 확장을 제한할 것을 요구했다. 결국 미국과 영국, 일본이 각각 5:5:3의 비율을 유지하기로 합의해, 일본 주력 군함의 규모는 영국과 미국보다 21만 톤 적은 31만 톤을 넘을 수 없게 되었다. 중국 문제에 있어서 미국은 문호 개방과 기회균등의 원칙을 내세웠다. 그러나 중국이 요구한 영사 재판권 취소와 관세 자유 실현, 조계지 반환 등의 요구와 산둥 문제 해결, 1915년에 체결된 21개조 요구 폐지 등의 조건은 일본이 배상금을 받고 산둥에서 철군하기로 합의하는 데 그쳤다. 워싱턴 회의를 계기로 동북아에 새로운 정치 국면이 형성되었다. 영일 .. 2024. 1. 17.
[일본 근현대사]#44_제1차 세계대전 후, 중국의 산둥반도를 차지하다 1914년 10월 말, 일본 군대가 갑자기 중국 칭다오에 주둔해 있던 독일군에게 총공세를 가했다. 이 전투에 영국군 1,000명도 참가했다. 11월 7일, 칭다오의 독일군이 투항함으로써 일본군이 칭다오를 관리하고, 독일의 전쟁 포로들은 도쿄 전쟁 포로수용소로 이송되었다. 제1차 세계대전 속 일본 1914년, 제1차 세계대전이 유럽에서 시작되었다. 유럽 협약국과 동맹국이 참전했는데, 안팎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던 일본 정치계는 이 전쟁에서 한 줄기 빛을 봤다. 원로 이노우에 가오루는 "이 전쟁은 다이쇼 시대의 천우이다."라고 외쳤다. 일본 정부는 곧 참전 준비에 착수했다. 전쟁이 일본 경제에 큰 이익을 안겨줄 뿐만 아니라, 아시아에 대한 열강의 간섭이 줄어든 틈을 타 동북아에서 본인들의 지위를 강화할 절호의.. 2024. 1. 16.
[일본 근현대사]#43_일본, 조선을 삼키다 러일전쟁 이후 일본, 조선을 삼키다 1905년 11월 16일, 이토 히로부미가 조선을 방문해 '한일 협약(을사늑약)'을 고종에게 전달한다. 그리고 일본에 외교권을 넘겨 달라고 공공연하게 요구했다. 그는 외무대신을 만나 서둘러 일본 공사와 협약을 체결할 것을 강요한 뒤, 18일 새벽 0시 20분 일본 헌병들의 경호를 받으며 거처에 도착했다. 약 30분 뒤, 주한 일본 공사 하야시 곤스케와 조선의 박제순이 한일 협약에 서명했다. 일본은 조선에 통감을 설치하고 주둔해 외교를 총괄하도록 했다. 이로써 조선은 일본의 동의를 받지 않고는 그 어떤 국제 협약도 체결할 수 없는 처지로 전락한다. 1906년, 이토 히로부미가 초대 조선 통감으로 부임한다. 그는 한국을 13도 11부 333군으로 나누고 각급 행정 기관에 .. 2024. 1.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