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246

[러시아사]#41_1차 세계대전과 2월 혁명, 러시아를 뒤흔들다 1913년 러시아의 석탄 생산량과 면화 가공량은 1900년에 비해 각각 121퍼센트와 62퍼센트의 성장률을 보였다. 수출 총액과 국민 소득 역시 각각 112퍼센트와 78.8퍼센트로 비약적 발전을 이루었다. 1인당 식량 생산 역시 최대치를 기록했다. 1914년에 이르자 러시아는 세계 6대 무역 대국, 그리고 세계 4대 공업 대국으로 급부상했다. 1909년에 스톨리핀은 한껏 자랑스럽게 말했다. "앞으로 20년 동안 국내외적으로 평화 상태가 지속된다면 그때 러시아의 모습은 알아볼 수 없을 만큼 변모해 있을 것이다." 하지만 역사는 러시아에 그와 같은 기회를 주지 않았다. 이미 수명이 다된 다른 왕조와 마찬가지로 러시아 역시 스톨리핀의 출현만으로는 잿빛 운명을 피할 수는 없었다. 1차 세계대전의 소용돌이 191.. 2024. 2. 13.
[러시아사]#40_피의 일요일 사건, 러시아 노동자들의 현실을 고발하다 피의 일요일 사건 1905년, 러시아와 일본이 중국에서 러일전쟁을 한창 벌이고 있을 때였다. 러시아 내에서는 혁명의 조짐이 꿈틀거리고 있었다. 1월 22일 일요일, 새벽부터 눈보라가 휘날리는 상트페테르부르크에는 15만 명의 노동자와 그들의 가족이 노인과 아이들을 대동하고 나와 겨울궁전을 향해 평화 행진을 시작했다. 그들은 청원서와 니콜라이 2세(재위 1895-1917)의 초상화를 들고 동방정교의 찬송가를 부르며 국민 대표제, 8시간 노동권, 의무 교육, 임금 인상, 작업 환경 개선 등을 요구했다. 하지만 손에 무기 하나 쥐지 않은 그들을 기다린 것은 황제의 웃는 얼굴이 아니라 총성과 차디찬 말발굽 소리뿐이었다. 경찰과 군대는 이 평화적 행진에 발포를 시작했고, 그날 상트페테르부르크 거리는 노동자의 피로 .. 2024. 2. 12.
[러시아사]#39_알렉산드르 2세 암살과 레닌의 탄생 알렉산드르 2세 암살 농노를 해방한 알렉산드르 2세는 '해방 황제'라고 불리기도 했다. 하지만 그는 여전히 전제 군주였다. 농노를 해방한 것은 자신의 통치를 유지하기 위한 수단일 뿐이었다. 그의 진심은 독일 철혈재상인 비스마르크와의 대화에서도 잘 드러난다. "황관은 내게 권력의 달콤함을 주었소. 이 황관을 잃는 것은 나의 국민과 민족의 재난을 의미하는 거요." 상황이 어느 정도 좋아졌다고 생각한 그는 더 이상의 개혁을 거부했다. 그는 막 싹트고 있는 악의 유혹에서 러시아인들을 보호하는 것이 자신의 임무라고 생각했다. 그리고 그 유혹이 언젠가는 사회의 재난을 몰고 올 것이 분명하다고 생각했다. 이에 대내적으로는 한발 더 나아간 개혁을 원하는 이들을 최고 치안위원회를 통해 공격함으로써 유혈 진입했으며, 대외.. 2024. 2. 11.
[러시아사]#38_러시아 농노제 폐지, 경제 현대화에 이르다 농노제 폐지되다 차르 정부의 일부 인사들까지도 러시아가 너무도 오랫동안 농노제를 유지해 왔다는 사실을 인정하며 이를 폐지하지 않으면 수십 년 후에는 러시아 전체가 무너질 수 있음을 조심스레 지적했다. 1861년, 마침내 러시아를 곪게 한 농노제가 끝을 맺었다. 알렉산드르 2세가 농노제 폐지를 법적으로 선포한 것이다. 이제 러시아는 서유럽에 뒤처진 지 100년 만에 마침내 현대화로의 발걸음을 내디뎠다. 농노들은 자유를 얻었고 지주들은 더 이상 농노들을 사고팔 수 없었다. 하지만 모든 토지는 여전히 지주들의 소유였기 때문에 농민들은 실제 토지 가격의 2~3배가 넘는 배상금을 지불해야만 토지를 얻을 수 있었다. 해방된 농민들이 공장에 노동력을 제공하고 거액의 배상금이 공업 발전 자금으로 사용되면서 수공업 공장.. 2024. 2.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