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251

[러시아사]#59_집권 후 스탈린의 적극적인 개혁 스탈린의 적극적인 개혁 레닌과 달리 스탈린은 가까운 미래에 유럽에서 혁명이 발생하지 못할 거라는 사실을 1920년대에 이미 알고 있었다. 이에 스탈린은 다음과 같은 개혁을 추진했었다. 첫째, 소련을 경제 강국으로 만들려 했다. 이러한 목표를 이루기 위해 소련은 이미 풍부한 자원과 인구 같은 조건을 갖추고 있었다. 그래서 스탈린은 소련을 선진국으로 만드는 일에 가장 먼저 착수했다. 비록 1등이 되진 못하더라도 3등 정도는 되어야 한다는 식이었다. 둘째, 단일 국가를 건설하려고 했다. 스탈린은 아무리 강한 연맹 공화국이라도 결국 각 민족이 갖은 방법을 동원해 중앙에서 분리되려 한다는 사실을 잘 알고 있었다. 그래서 러시아어 교육을 통해 각 민족을 융합하려 했다. 물론 모든 민족은 자신만의 언어와 문화를 가지.. 2024. 3. 9.
[러시아사]#58_제2차 세계대전에서 승리하다 제2차 세계대전 종식 1943년 2월 2일, 200여 일 동안 꿋꿋하게 버틴 소련의 적군은 결국 스탈린그라드 전투에서 승리했다. 그리고 이 전투에서의 승리는 소련에서의 전쟁은 물론 세계대전에서도 중요한 전환점이 됐다. 1945년 5월 1일은 세계 반파시스트 전쟁의 승전고가 울린 날이었다. 이날 예고로프 중사와 칸타리아 중사는 독일의 제국의회 의사당 꼭대기에 붉은 깃발을 꽂았다. 그 하루 전 히틀러는 자살로 생을 마감했고, 나치 정권은 와해하고 말았다. 그리고 7일 후 독일은 소련의 주코프 장군에게 투항을 알려왔다. 독일이 패망한 그해 미국, 영국, 소련의 수뇌들은 얄타에서 회담을 가졌다. 이는 대국적 색채를 강하게 띠는 회담으로 세계에서 가장 힘 있는 세 개 국가가 전후 처리를 의논하는 자리였다. 이는 .. 2024. 3. 9.
[러시아사]#57_소련, 제2차 세계대전, 스탈린그라드 소련의 제2차 세계대전 참전 11월 7일은 소련의 10월 혁명 기념일이다. 하지만 1941년 11월 7일은 예전과 달랐다. 독일군이 이미 모스크바로 진격해 오는 상황이었기에 소련은 그야말로 풍전등화 신세였다. 그날 오후, 천지는 눈으로 뒤덮였고 날씨는 평소보다 더 추웠다. 하지만 시민들은 소리 높여 군가를 부르고 구호를 외치고 있었으며 붉은 광장은 어느 때보다 뜨겁게 달아올라 있었다. 밤 9시, 레닌의 묘 앞에 모습을 드러낸 스탈린이 연설을 시작했다. "전 세계가 지금 우리를 지켜보고 있습니다. 침략자 독일의 억압 속에서 유럽인들이 우리를 쳐다보고 있습니다. 위대한 해방의 사명은 이제 우리들의 몫입니다. 우리는 절대 이 숭고한 사명을 저버려서는 안 됩니다! 미하일 쿠투조프의 용기가 우리를 일어서게 할 것.. 2024. 3. 8.
[러시아사]#56_제2차 세계대전과 소련 스탈린 집권 당시 소련의 국제 관계 정권을 잡은 스탈린은 곧바로 소련의 대외 관계 개선을 위해 노력했다. 사람들은 코민테른이 1943년에 해산됐다고 하지만 그것은 잘못 알고 있는 사실이다. 코민테른의 마지막 회의는 1935년 여름에 열렸다. 그 회의에서는 아주 중요한 사안이 하나 결정됐는데, 바로 인민전선에 대한 무조건적인 지원이었다. 즉, 더 이상의 혁명을 포기하고 반파시스트를 부르짖는 민주 세력과 함께 평화적인 수단을 통해 정권을 획득하기로 결정한 것이다. 이것이 이른바 의회 노선이다. 스탈린은 소련이 동서로부터 전쟁의 위협을 받고 있다는 사실을 알고 있었기에 온 힘을 다해 잠재적인 동맹국들과 협정을 맺고 그들과 함께 외부의 침략을 막으려 했다. 1934년, 소련은 국제연맹에 가입했다. 사실 그전까지.. 2024. 3. 8.
[러시아사]#55_대공황 이후 몰락한 자본주의 국가와 추월하는 소련 세계 대공황으로 붕괴한 자유주의 진영과 대비되는 소련의 상황 1930년대 초반, 다른 자본주의 국가들은 미국발 대공황의 여파로 경제가 붕괴하였을 때, 사회주의 노선인 소련은 그 타격이 상대적으로 적었다. 덕분인지 소련은 상상할 수 없을 만큼 빠른 속도로 서방 국가가 수백 년에 걸쳐 완성했던 공업화를 이루어낼 수 있었다. 하지만 눈부신 발전 뒤에는 그늘진 대가가 있었다. 빠른 발전에 가려진 문제가 심각했다. 소련은 농업의 정상적인 발전을 무시한 채 중공업과 군수 산업의 성장만을 도모했기에 경제 발전의 불균형이 발생했다. 이에 따라 경제의 균형적 발전을 포기해야만 했다. 모든 경제생활을 통제한 국가가 시장 조절 작용을 무시한 탓에 나라는 강해졌지만 국민들의 생활은 여전히 곤궁했다. 이처럼 제때 해결되지 못한.. 2024. 3. 8.
[러시아사]#54_5개년 계획 경제, 소련을 강대국으로 만들어주다 소련, 계획 경제로 인한 성장 1935년 8월 30일 밤, 돈바스의 젊은 광부 스타하노프는 석탄 채굴 방법을 개선해 6시간 만에 평소 채굴량의 13배인 102톤의 석탄을 캐냈다. 그의 이야기는 금세 사람들 사이에서 뉴스로 떠올랐다. 그리고 1주일 후 스타하노프는 자신의 기록을 깨고 하루 만에 175톤의 석탄을 채굴했다. 스타하노프는 더 이상 평범한 광부가 아니었다. 그의 이름은 소련의 공업화 과정에서 생산 기술 혁신 운동의 대명사로 떠올랐다. 그 후 각 분야에서는 수없이 많은 스타하노프가 탄생했다. 그들의 주도하에 1933~37년까지 실시된 소련의 2차 5개년 계획은 당초 예상했던 63퍼센트를 훨씬 웃도는 82퍼센트에 이르는 효율을 올렸다. 수많은 스타하노프는 사회주의의 빠른 발전을 이끌었는데, 교육 분.. 2024. 3. 7.
[러시아사]#53_소련의 계획 경제, 1차 5개년 계획과 1929년 세계 대공황 소련, 국가 단위의 '경제 계획'을 시행하다. 소련의 1차 5개년 계획은 인류 최초의 경제 계획이었다. 5개년 계획을 수립하는 과정은 다음과 같았다. 정부가 '국가가 중공업 발전을 가속화하고 농업 부문의 투자를 줄이며 공업 투자를 늘린다.'와 같은 기본적인 사항을 결정하면 농업, 공업, 군사, 문화를 비롯한 소련의 모든 조직이 법에 따라 결정된 사항과 관련된 자원 및 경영에 관한 구체적인 자료를 제출했다. 그러면 국가계획위원회는 소련에서 가장 뛰어난 통계학자, 경제학자, 기술 전문가들을 동원해 대량의 자료를 분석하고 구체적인 5개년 계획을 세웠다. 그리고 수정과 심사를 거쳐 최종 계획을 수립했다. 1차 5개년 계획의 내용은 모두 3권으로 무려 1,600페이지에 이르렀다. 그 내용은 중공업, 경공업, 농업.. 2024. 3. 7.
[러시아사]#52_스탈린의 등장, 소련 고속 공업화의 길을 걷다 소련 공업화 노선을 취하다 레닌의 빈자리를 스탈린이 채웠다. 스탈린이 물려받은 소련은 여전히 자본주의 국가들에 의해 둘러싸여 있었다. 1920년대는 자본주의 황금시대였다. 서양의 각국은 제1차 세계대전 후유증에서 벗어났고, 주요 국가의 공업 생산량은 전쟁 전의 150퍼센트를 웃돌았다. 일부 서양 경제학자들은 자본주의로 인해 빈곤이 사라졌으며 서양 세계는 이미 영원한 번영의 단계에 들어섰다고 평가했다. 당시만 해도 곧 다가올 경제 위기를 예측하는 사람은 거의 없었다. 눈앞의 번영으로 자신감이 가득했던 서양 세계는 여전히 소련 경제에 대한 봉쇄 정책을 풀지 않았다. 1927년, 영국은 소련과의 단교를 선언하고 1921년 서명한 영소 무역협정을 무효로 했다. 한편 영국의 외무장관 체임벌린은 6개국 외무장관 회.. 2024. 3. 6.
[러시아사]#51_세계 최초의 사회주의 국가 소련의 탄생과 레닌의 죽음 러시아를 공업 국가로 바꾼 레닌 많은 국가에서 문화와 교육을 흡수했던 레닌은 죽은 것이나 다름없던 러시아를 심폐 소생하기 시작했다. 1918년부터 4년 동안 네 가지 정책, 즉 전시공산주의, 식량 징발제, 식량 세제, 신경제 정책을 시행했으며, 전국을 전기화하는 계획과 공업 발전 계획을 제안했다. 스탈린이 10년이라는 짧은 시간 동안 9,000개의 공장을 짓고 각종 내실 있는 경제 성과를 달성하며 수많은 지식인과 군인들을 배출해 낼 수 있었던 것도 레닌이 그 기반을 다져놓은 덕분이었다. 1941년 파시스트와의 전쟁이 일어났을 때 러시아는 이미 튼튼한 산업 기반을 가지고 있었다. 러시아는 당시 세계에서 가장 뛰어나다고 평가된 탱크 T34와 전투기 L2, 그리고 로켓 시스템 카추샤를 보유하고 있었다. 러시아.. 2024. 3.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