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246

[러시아사]#37_농노제, 러시아 발전의 발목을 잡다 러시아의 발목을 잡는 농노제 유럽의 산업혁명으로 인해 러시아는 이내 영국, 프랑스 같은 국가에 뒤처지고 말았다. 러시아는 거대한 파도와도 같은 산업혁명에 직면해서도 수동적이고 느릿느릿한 태도를 보였다. 무엇보다 농노제는 러시아 산업화에 커다란 걸림돌이 되어버렸다. 영국과 프랑스를 상대로 한 크림 전쟁에서 패배했다는 것은 자본주의에 대한 봉건 농노제의 패배를 상징했다. 이로써 러시아는 유럽에서의 모든 패권을 잃어버렸다. 러시아 역사상 가장 뼈아픈 패배였다. 고질병 같은 농노제는 점점 러시아의 활력을 빼앗아 갔다. 러시아의 정치계는 뇌물과 부패가 성행했고, 아무렇지 않게 국고에 손을 대는 이가 있는가 하면 벌건 대낮에 뇌물을 주고받는 이들도 있었다. 한 번은 니콜라이 1세가 군관을 시켜 당시 추진되던 공사의.. 2024. 2. 9.
[러시아사]#36_니콜라이 1세의 그릇된 야심과 낙후된 러시아 니콜라이 1세의 그릇된 야심과 낙후되는 러시아 알렉산드르 1세의 계승자라 자처하던 니콜라이 1세(재위 1825~1855)는 데카브리스트의 난을 진압하며 자신의 강경 통치에 무척이나 만족했다. 유럽 사회에 변화의 기운이 감도는 강력한 경고의 메시지를 눈치채지 못했던 니콜라이 1세는 자신을 '유럽의 헌병'으로 칭했다. 엥겔스는 니콜라이 1세를 다음과 같이 평가했다. "그는 자아도취에 빠져 있었다. 그의 시야는 끝까지 일개 군관 수준을 벗어나지 못했다. 그는 잔인함을 의지의 표현이라 착각했으며 독단적인 집정을 힘의 상징이라 믿었다." 1848년, 프랑스에서 2월 혁명이 일어났고 이에 따라 제2공화정이 수립됐다. 니콜라이 1세는 마침 궁정 무도회에 참가했다가 그 소식을 듣게 되었다. 스스로 유럽의 헌병이라 여겼.. 2024. 2. 8.
[러시아사]#35_데카브리스트 실패와 그후 러시아 지식인들의 긍지 온건파와 강경파로 나뉜 데카브리스트 데카브리스트들은 서유럽 국가 문명에 완전히 부합하는 사회 제도를 실현하려 했다. 그들은 러시아가 매우 낙후되어 있으며 농노제와 군주제가 조국의 발전을 저해하는 요소라는 걸 잘 알고 있었기에 두 가지 방식의 혁명을 제안했다. 온건파는 계몽 교육을 실시함으로써 서양 제도를 들여와 천천히 농노제와 군주제를 폐지하자고 주장했다. 하지만 강경파는 더욱 강력한 방식을 원했다. 그들은 무장 쿠데타로 황제와 황족들을 없애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렇게 해야만 러시아에 공화국을 세우고 의회를 수립할 수 있다고 믿었다. 그리고 그들은 결국 극단적인 방법을 선택했다. 당시 신하들로부터 데카브리스트들이 농노제를 폐지하고 군주의 권한을 제한하려는 음모를 꾸미고 있다는 소식을 전해 들은 알렉산드르.. 2024. 2. 6.
[러시아사]#34_데카브리스트와 관련된 몇몇 이야기(데카브리스트 광장과 로맨스) 데카브리스트 광장 상트페테르부르크에는 유명한 광장이 있다. 참정원 광장이라 불렸던 이곳은 훗날 청동 기사 동상이 세워지면서 표트르 광장으로 이름이 바뀌었다. 하지만 지금은 이곳을 데카브리스트 광장이라 부른다. 바로 1825년 황제의 통치를 거부하고 농노 해방을 부르짖었던 데카브리스트를 기념하기 위해서다. 1825년 12월 14일, 데카브리스트 광장에서 울려 퍼졌던 총성과 포성, 그리고 말발굽 소리와 비명은 러시아의 심장을 뒤흔들었다. 이곳에서 1,261명의 혁명 참가자들과 국민이 목숨을 잃었으며 그 피가 러시아 땅을 적셨다. 1925년 데카브리스트 혁명 100주년을 기념하면서부터 지금까지 이곳을 데카브리스트 광장이라 부르고 있다. 시베리아에서 피어난 데카브리스트의 로맨스 여담 데카브리스트들의 운명은 그렇.. 2024. 2. 6.
[러시아사]#33_데카브리스트의 난, 러시아의 귀족 혁명 시기 전제 군주제와 농노제에 대한 반발이 거세지다 프랑스혁명의 결과를 직접 목격한 러시아 귀족들은 더 이상 러시아의 현실을 두 눈 뜨고 바라볼 수 없었다. 프랑스의 평민들이 부활한 부르봉 왕조의 귀족들에게 평등과 자유를 요구할 때 러시아의 농노들은 여전히 귀족 지주의 채찍 앞에서 벌벌 떨어야만 했다. 영국에서는 산업혁명의 불길이 30년 동안이나 지속되고 있었지만, 러시아는 근대적인 공장조차 몇 개 갖추지 못한 채 여전히 수공업으로 생산하고 있었다. 유럽 세계에서 의회제가 보편적으로 인정될 무렵 미국은 이미 대서양 건너편에서 공화국을 수립했다. 하지만 러시아는 여전히 군주 독재를 유지하고 있었다. 계몽 군주는 이미 당위성을 잃었고 두 대제의 개방 정책으로 인해 러시아 국민들 사이에는 진보에 대한 바람이 거세게 .. 2024. 2. 5.
[러시아사]#32_쿠투조프의 일생과 러시아에 찾아온 자유주의 쿠투조프 장군의 일생 쿠투조프는 예카테리나 2세, 파벨 1세, 알렉산드르 1세, 모두 세 명의 황제를 섬겼다. 험난하면서도 찬란했던 그의 일생은 모두 이 세 명의 군주와 관련이 있다. 게다가 그의 인생은 군주에 따라 극과 극을 달렸다. 그가 처음으로 전쟁에서 다쳤을 때 그가 소속됐던 부대의 총사령관은 예카테리나 2세에게 당시 상황을 다음과 같이 보고했다. "모스크바 군대의 부상자 중 쿠투조프라 불리는 중위가 있습니다. 그는 새롭게 조직된 부대를 통솔하는 능력이 매우 뛰어나 노련한 군인들을 능가할 정도입니다." 그러자 여제는 쿠투조프에게 1만 루블의 상금을 하사했으며 직접 의사를 찾아가 이렇게 부탁했다. "반드시 쿠투조프의 부상을 낫게 해야 해요. 그는 큰 장군이 될 인물이에요." 쿠투조프는 용맹했을 뿐 .. 2024. 2. 5.
[러시아사]#31_나폴레옹의 패배, 러시아의 위세를 높이다 나폴레옹 참패하다 1812년 10월 19일, 나폴레옹은 결국 러시아에서 철수를 결정한다. 원래 나폴레옹의 계획은 계속 남하해 칼루가를 차지하는 것이었지만 이미 두 번이나 쿠투조프에게 패했기에 어쩔 수 없이 이미 프랑스군에 의해 폐허가 된 스몰렌스크 거리에서 후퇴해야만 했다. 쿠투조프는 이 기회를 놓치지 않았다. 후퇴하는 나폴레옹을 군대를 조직해 반격하기 시작했다. 프랑스군은 대열도 갖추지 못한 채 허둥거렸고 남은 인원들은 베르지나 강에서 다시 한번 공격을 당한 뒤 허겁지겁 국경으로 도망쳐버렸다. 쿠투조프의 재빠르고 시기적절한 전술은 무적이라 여겨지던 나폴레옹의 대군을 이렇듯 가볍게 격파했다. 이처럼 전세가 역전되자 러시아 병사들은 "러시아의 구세주 만세!"라며 쿠투조프를 소리 높여 찬양했다. 그러나 쿠투.. 2024. 2. 4.
[러시아사]#30_나폴레옹, 쿠투조프, 보로디노 전투와 모스크바 입성 나폴레옹 러시아를 집어삼키다 1812년, 나폴레옹이 50만 대군을 이끌고 러시아를 향해 진격했다. 얼마 후 러시아의 도시는 차례차례 나폴레옹의 수중에 들어가게 된다. 이때 러시아 전역에서 한 사람의 이름을 외쳤으니, 바로 쿠투조프였다. 병사들은 소박하고 용감한 장군 쿠투조프를 누구보다 사랑하고 존경해 마지않았다. 군관들은 대단한 지략을 갖춘 그를 신뢰할 만한 지도자라고 여겼으며 종교계에서도 그를 종교를 존중하는 성실한 신도라 평가했다. 귀족들 역시 그가 누구보다 조국을 사랑하는 진정한 러시아인이라고 입을 모아 칭찬했다. 이렇듯 대부분의 러시아인은 쿠투조프를 러시아의 구세주라고 생각했다. 실제로 이미 퇴역한 쿠투조프는 나폴레옹 침략 소식을 듣자마자 전투복을 갖춰 입고 상트페테르부르크로 달려갔다. 자신을 부.. 2024. 1. 31.
[러시아사]#29_러시아 영웅 쿠투조프와 나폴레옹의 러시아 원정 러시아의 영웅, 쿠투조프 1813년 4월 28일 아침 9시 35분, 분츨라우(지금의 폴란드)라는 작은 도시의 이층 집으로 별똥별 하나가 떨어졌다. 8년이 지난 1821년 4월 11일, 이 도시에는 쇠로 만든 높이 12미터의 기념비가 올라섰는데 거기에는 다음과 같은 글귀가 새겨져 있었다. "쿠투조프 스몰렌스크 공작, 무적의 러시아 군대를 이끌고 이곳에 오다. 죽음의 신은 그의 영광스러운 대업을 중단시키고 말았지만 그는 조국을 구했으며 유럽에 자유의 길을 열어 주었도다. 그의 이름은 영원하리니!" 쿠투조프(1745-1813)는 군인 집안에서 태어났다. 12살이 되던 해에 구사 학교에 들어갔으며, 타고난 총기로 금세 학생들 사이에서는 두각을 나타냈다. 이러한 배경은 훗날 그가 세계에서 가장 박학다식한 군인 중.. 2024. 1. 31.